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2013년도 상반기 해외건설 수주액이 305억불을 기록하였으며, 하반기에 400억불 이상 수주하여 700억불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활동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상반기 305억불은 전년동기(321억불) 대비 5% 감소한 수준이나, 수주가 월별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사실상 수주한 태국 물관리사업(약 55억불) 등을 감안할 때 내용상으로는 전년보다 나아진 것으로 평가된다.
* (‘13.1) 29억불→ (2) 43억불→ (3) 61억불→ (4) 23억불→ (5) 77억불→ (6) 72억불
* ‘12년에는 비스마야 신도시(78억불) 등 영향으로 6월에만 197억불 수주

(지역별) 아시아가 125.4억불로 전체 수주액의 41%를 차지하고 태평양·북미지역의 수주도 급증하는 등 중동 위주의 수주구조가 다변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 아시아 125.4억불(41.1%), 중동 106.8억불(35.0%), 태평양·북미 61.5억불(20.2%) 順
아시아 지역은 베트남 NSRP 정유 프로젝트(21억불, SK건설, GS건설) 등 대규모 플랜트 공사 수주에 힘입어 지난해 동기(66억불) 대비 90.8%나 증가하였으며,
태평양·북미지역도 호주 로이힐 철광석 프로젝트(58.5억불, 삼성물산) 수주 영향으로 전년 대비 수주가 급증(47,181%)하였다.
반면, 중동은 106.8억불 수주로 전년(201억불)의 절반 수준이나, 현재 최종협상이 진행중인 공사들의 계약이 곧 반영될 예정으로서 수주실적도 조만간 본 궤도에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단위: 억불, %)
구분
|
1965∼2013.6.30
|
‘12.1.1∼’12.6.30
|
‘13.1.1∼’13.6.30
|
누계금액
|
비중
|
기간금액
|
비중
|
기간금액
|
비중
|
6개 지역
|
5,754
|
100.0
|
320.8
|
100.0
|
305.1
|
100.0
|
중동
|
3,349
|
58.2
|
201.1
|
62.8
|
106.8
|
35.0
|
아시아
|
1,683
|
29.2
|
65.6
|
20.4
|
125.4
|
41.1
|
북미.태평양
|
216
|
3.8
|
0.1
|
0.0
|
61.5
|
20.2
|
유럽
|
105
|
1.8
|
2.6
|
0.8
|
4.7
|
1.5
|
아프리카
|
179
|
3.1
|
7.7
|
2.4
|
5.9
|
1.9
|
중남미
|
222
|
3.9
|
43.7
|
13.6
|
0.8
|
0.3
|
(공종별) 플랜트 건설이 143.7억불로 전체의 47%를 차지한 가운데, 로이힐 프로젝트 수주에 힘입어 토목 분야 진출이 대폭 증가(전년 대비 254%)한 것으로 나타났다.
* 플랜트 143.7억불(47.1%), 토목 115.1억불(37.7%), 건축 36.8억불(12.1%) 順
이는 세계적 수준의 플랜트 EPC* 경쟁력을 보유한 우리기업의 플랜트 수주 강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진출공종이 점차 다변화되는 모습으로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 Engineering(실시설계) + Procurement(자재조달) + Construction(시공)

(단위: 억불, %)
구분
|
1965~2013.6.30
|
‘12.1.1~’12.6.30
|
‘13.1.1~’13.6.30
|
누계금액
|
비중
|
기간금액
|
비중
|
기간금액
|
비중
|
6개 공종
|
5,754
|
100.0
|
320.8
|
100.0
|
305.1
|
100.0
|
토목
|
1,104
|
19.2
|
32.5
|
10.1
|
115.1
|
37.7
|
건축
|
1,286
|
22.3
|
102.0
|
31.8
|
36.8
|
12.1
|
플랜트
|
3,143
|
54.7
|
178.1
|
55.6
|
143.7
|
47.1
|
전기
|
116
|
2.0
|
2.7
|
0.8
|
1.9
|
0.6
|
통신
|
29
|
0.5
|
0.7
|
0.2
|
2.3
|
0.8
|
용역
|
76
|
1.3
|
4.8
|
1.5
|
5.3
|
1.7
|
(하반기 전망) 국토교통부는 하반기에 우리기업들이 400억불 이상 수주를 달성하여 금년도 목표인 700억불 이상의 수주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현재 우리기업이 수주활동중인 해외건설 프로젝트 현황을 분석해본 결과, 태국 물관리 사업 등 계약이 확실시되고 있는 사업이 260억불 수준이며,
이를 포함하여 약 1,500억불 규모의 프로젝트 입찰에 참여중이므로 하반기 400억불 이상 수주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단, 미국 출구전략 가시화로 인한 세계경기회복 지연 등으로 주요 발주처의 발주·계약 지연시 전망액 하향조정 가능성은 잠재
(수주지원계획) 국토교통부는 수주 목표 700억불 이상을 달성하기 위해 하반기에도 기존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고 시장 및 공종 다변화를 위한 적극적인 수주지원 활동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통적 수주강세 지역인 중동지역에는 사우디, 터키, UAE 등에 수주지원단을 파견(3분기, 장ㆍ차관급)하고, 한-이라크 공동위원회(3분기, 장관), 한-오만 건설협력위원회(4분기, 차관) 등을 통해 중동내 신흥시장 진출을 본격적으로 타진할 계획이다.
동남아시아의 경우, 태국 물관리사업 수주 관련 후속사업 발굴을 위해 대표단을 파견하고, 미얀마(한따와디공항), 브루나이(PMB교량사업) 등 대형 인프라 수주를 위한 관계기관 간담회 등을 정기적으로 개최할 계획이다.
그 밖에도 중앙아 및 서남아에서 현지 로드쇼 및 협력포럼을 개최(3~4분기)하여 한국기업에 대한 인지도를 제고시키고, 나이지리아(댐 건설·전력분야, 8월), 콜롬비아(주택 100만호, 10월), 베네수엘라(정유플랜트, 10월) 등 중남미ㆍ아프리카에서도 타겟형 수주지원을 전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한편, 해외 주요 발주처를 일시에 초청하여 국내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프로젝트 설명회를 개최하고, 1:1 상담 기회를 제공하는 행사인 Global Infrastructure Cooperation Conference(GICC)를 11월 중 개최할 예정이다.
* 산하기관, 국내외 정책금융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건설기업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할 계획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우리기업들이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높은 경쟁력을 바탕으로 선전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정부 차원에서도 해외건설 수주지원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