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경제운전 생활화로 자동차 온실가스 감축 유도
기관
등록 2013/07/10 (수)
파일 130711(조간)_제4차_친환경_경제운전_활성화_워크숍_개최(교통정책조정과).hwp
내용




 국토교통부(장관 : 서승환)와 교통안전공단(이사장 : 정일영)은 경제운전을 생활화·활성화하기 위해 7월 11일(목) 10시부터 대전시 중구 소재 대림관광호텔에서 지자체 공무원·군부대 등(100여명)을 대상으로 「제4차 친환경 경제운전* 활성화 워크숍」을 개최한다.


   * 친환경성·경제성·안전성·편리성 및 에너지 절약을 지향하는 운전으로 ‘에코드라이브’라고 하며, 교통수단을 운행하는 방법, 습관 또는 형태 등을 개선하여 연료소비와 온실가스배출 등을 감축하는 것을 말함



  경제운전 활성화는 교통 부문(‘10년 기준) 중 에너지 소비량의 81%와 온실가스 배출량의 95% 정도를 차지하는 도로 부문(자동차, 건설기계, 농기계 등)의 에너지를 절감하고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2010년부터 추진해오고 있다.


   * 교통부문 에너지 소비량(총 37백만 TOE) : 도로 80.7%, 철도 1.0%, 항공 9.3%, 해운 8.9%
   ** 교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총 84백만톤 CO2eq) : 도로 94.6%, 철도 0.7%, 항공 1.4%, 해운 2.7%, 기타 0.5%



  금번 워크숍에서는 중앙·지자체의 정책 발표, 공군 본부의 우수사례 발표, 경제운전 실천요령*(11가지) 교육 및 분임토의 등을 통해 경제운전이 생활화되도록 할 계획이다.


   * 교통정보생활화, 엔진예열 최소화, 출발은 부드럽게, 관성주행 활용, 정속주행 유지, 경제속도 준수, 공회전 최소화, 적재물 다이어트, 타이어 공기압 체크, 에어컨 사용 자제, 소모품 관리 철저



 동 워크숍의 주요 발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교통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전략

  우리나라의 교통체계를 대중교통·그린카·자전거·보행과 같은 환경친화적·에너지 절감형 교통체계 중심으로 개편하여 2020년까지 교통 부문의 온실가스를 BAU 대비 34.3%(36.8백만톤) 감축할 계획으로

  - 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교통수요 관리 강화 및 교통시설운영 효율화, 생활밀착형 자전거·보행 활성화, 대중교통 인프라 확충 및 서비스 개선, 저탄소 녹색물류체계 구축과 친환경 교통물류 기술 개발 등 5대 전략(74개 세부추진과제) 계획에 대해 발표한다.

  (2) 지속가능 교통물류 발전법 개정 추진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고 교통·물류 활동이 원활한 시와 군에 대해 행정적·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교통물류체계의 지속가능성 관련 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 모든 시·군이 지방 교통물류발전계획 수립, 교통물류 체계의 지속가능성 조사·평가, 특별대책 지역 지정, 특별종합대책 수립·시행 대상이었으나,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와 인구 10만 이상인 시(73개*)로 대상을 축소할 계획이다.


   * 163개 시·군 중 인구 10만 미만인 시(11개, 총 84개시)와 군 전부(79개) 제외
   ☞ 개정안 입법예고(.6.10~7.20), 법제처제출(8월), 국회 제출(10월),



  (3) 경제 운전 보급사업 현황 및 실천 요령 소개

  교통안전공단은 2010년 4월 경제운전교육센터로 지정되어 경제운전활성화 사업을 대행하는 기관으로서

  - 시내버스·물류기업·군부대·에코리더 등을 대상으로 경제운전 교육 실시, 경제운전 가상체험관 설치·운영(녹색성장체험관, 광주시 교통문화발전연수원) 및 순회 운영 등 홍보사업 실시, 온라인 포털사이트(http://www.ecodriving.kr) 운영 등 그동안 교통안전공단에서 추진해 온 경제운전 활성화 사업에 대해 소개한다.

  (4)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서울시 친환경 정책 발표

  서울시는 시내버스 운전기사에 대한 경제운전 교육 지원 및 경제운전 협약기관으로서

  - 에너지 절감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승용차 요일제 및 혼잡통행료 도입 취지와 승용차 요일제 가입자에 대한 인센티브(혼잡통행료·공영주차장 주차료·거주자 우선 주차 허용 등), 친환경 운전장치 부착 추진 및 공회전 제한지역 설정 등 대책을 발표한다.

  (5) 공군 경제운전 활성화 우수사례

  공군은 경제운전 협약기관으로서

  - 경제운전 도입 배경, 교육·홍보 및 경제운전 교육시스템 설치, 전기자동차 확보, 경제운전 실천 활동 등 우수사례를 소개한다. 


 주제 발표와 사례 소개가 끝난 후 참석자 모두가 참여하는 경제운전 활성화 방안에 대한 붙임 토의를 실시하여 우수한 분임에 대해서는 시상을 한다. 


 국토교통부와 교통안전공단은 지속적인 경제운전 교육·홍보 강화로 2020년까지 경제운전 참여율 30%를 달성을 통해 CO2 배출량 총 203만 톤이 감축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