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장관 : 서승환)는 전국에 소재한 상업용부동산(오피스 빌딩 824동, 매장용 빌딩 2,331동)에 대한 `13년도 2분기 투자수익률, 공실률, 임대료 등 투자정보를 조사․발표하였다.
* 조사기준일 : 투자수익률(’13.4.1.~6.30.), 공실률(’13.6.30.), 임대료(’13.6.30.)
** 대상: (오피스) 전국 6층 이상, 임대면적 50%이상 업무용빌딩
(매장용) 전국 3층 이상, 임대면적 50%이상 매장용 빌딩(각, 구분소유건물 제외)
한편, 이번 분기부터 임대사례 조사결과를 중소기업청 산하 소상공인진흥원의 상권정보와 공유하여 109개 오피스․매장용 상권정보를 추가로 발표하며,
상권별 업종현황, 임대료 수준, 공실률, 위치도 등 자영업 창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상공인의 창업을 지원하고 조사결과 활용도를 높였다.
[ 예시 ] 서울 강남대로 상권
표본빌딩 기본정보
|
위치도
|
상권 전경
|

|
|

|
업종현황(소상공인진흥원 상권정보)
|
투자수약률(매장용)
|
공실률 및 임대료(매장용)
|

|
|
|
* 상권현황 통계자료 열람 사이트: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www.r-one.co.kr)을 통해 7.25.(목)부터 열람가능(자료실→공표보고서→임대사례조사) (p.31 별첨3 참조)
`13년 2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사례조사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투자수익률
`13년 2분기 전국 상업용부동산 투자수익률은 오피스 빌딩이 1.04%로 전 분기 대비 0.63%p 하락하였고, 매장용 빌딩은 1.25%로 전 분기 대비 0.36%p 하락하였다.
* 투자수익률=소득수익률+자본수익률
- 소득수익률=순영업소득(임대료 등 수입-영업경비)/기초자산가격
- 자본수익률=자산가격변동액/기초자산액
미국 등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지속과 거시경제 여건 악화로 인해 기업경기 부진이 여전한 가운데, 오피스 빌딩 공급증가에 따른 물량 적체와 소비 및 투자심리 회복세가 더딘 영향으로 2분기 투자수익률은 전 분기 대비 하락세를 보였다.
임대료 수입 등의 소득수익률은 경기침체에 따른 임대수요 감소 및 공급지속의 영향으로 공실률 상승과 임대료 보합세를 보이며 업무용빌딩은 전 분기 대비 0.02%p 하락한 1.31%, 매장용 빌딩은 전 분기 대비 0.01%p 하락한 1.31%로 나타났다.
빌딩의 자산가치 변동을 나타내는 자본수익률은 전반적인 부동산가격 하락에 따라 오피스 빌딩은 전 분기 대비 0.61%p 하락한 -0.27%, 매장용 빌딩은 전 분기 대비 0.35%p 하락한 -0.07%로 나타났다.
< 투자수익률 추세 >
(단위 : %, %p)
|
구 분
|
`11
|
`12
|
`13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전기대비
|
오
피
스
|
소득수익률
|
1.38
|
1.41
|
1.14
|
1.37
|
1.40
|
1.40
|
1.12
|
1.31
|
1.33
|
1.31
|
-0.02
|
자본수익률
|
0.50
|
0.59
|
0.25
|
0.16
|
0.38
|
0.33
|
-0.91
|
0.42
|
0.34
|
-0.27
|
-0.61
|
투자수익률
|
1.88
|
2.00
|
1.39
|
1.53
|
1.78
|
1.73
|
0.21
|
1.73
|
1.67
|
1.04
|
-0.63
|
매
장
용
|
소득수익률
|
1.29
|
1.32
|
0.99
|
1.31
|
1.30
|
1.30
|
0.95
|
1.23
|
1.32
|
1.31
|
-0.01
|
자본수익률
|
0.58
|
0.53
|
0.29
|
0.19
|
0.36
|
0.29
|
-0.48
|
0.20
|
0.28
|
-0.07
|
-0.35
|
투자수익률
|
1.87
|
1.85
|
1.28
|
1.50
|
1.66
|
1.59
|
0.47
|
1.43
|
1.61
|
1.25
|
-0.36
|
※ 분기별 수익률은 3개월 동안의 보유기간 수익률(%)임
※ ’12년도까지는 8개 시도(서울, 광역시, 경기일부) 주요상권 기준이며, ’13년도부터는 전국기준임
|

이러한 연 5%수준(최근 4분기, ‘12.3분기~13.2분기)의 투자수익률은 '13.2분기 기준 금융상품(CD 연2.74%)과 채권(국고채 연2.67%, 회사채 연3.04%) 등 다른 자산의 수익률에 비하여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단위:%)
구분
|
상업용부동산
|
채권
|
주식
|
금융상품
|
기타
|
오피스
|
매장용
|
국고채
(3년)
|
회사채
(3년)
|
KOSPI
|
정기
예금
|
CD
(91일)
|
아파트
(매매)
|
환율
|
금
|
’11
|
6.97
|
6.66
|
3.62
|
4.41
|
12.4
|
3.69
|
3.44
|
9.6
|
-4.2
|
11.43
|
’12
|
5.55
|
5.25
|
3.13
|
3.77
|
-2.7
|
3.40
|
3.30
|
-0.2
|
1.7
|
-0.54
|
‘13.1분기
|
1.67
|
1.61
|
2.68
|
3.07
|
0.39
|
3.05
|
2.83
|
-0.65
|
3.83
|
-0.12
|
‘13.2분기
|
1.04
|
1.25
|
2.67
|
3.04
|
-7.06
|
-
|
2.74
|
0.51
|
3.38
|
-16.0
|
* 13.2분기 채권, 금융상품은 연리(%), 주식 기타상품은 전분기대비 비교치임.
※ 자료출처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http://ecos.bok.or.kr), 한국거래소,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www.r-one.co.kr)
`13년 2분기 투자수익률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오피스 빌딩은 울산(1.58%), 서울(1.38%)순으로 투자수익률을 보인 가운데, 충남(-0.15%)은 자산가치 하락폭이 커 투자수익률이 유일하게 마이너스를 기록하였다.
<’13년 2분기 오피스빌딩 지역별 투자수익률 현황>
(단위: %,%p)
지역
|
전국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
투자수익률
|
1.04
|
1.38
|
1.00
|
0.17
|
0.32
|
0.25
|
0.05
|
1.58
|
|
전기대비
|
-0.63
|
-0.45
|
-0.95
|
-1.60
|
-0.72
|
-0.65
|
-1.06
|
-0.10
|
|
지역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투자수익률
|
1.06
|
1.00
|
0.47
|
-0.15
|
0.84
|
0.97
|
0.77
|
1.00
|
0.98
|
전기대비
|
-0.72
|
-0.53
|
-0.41
|
-1.88
|
-0.60
|
-0.32
|
-0.88
|
-0.14
|
-0.12
|
※ 투자수익률은 3개월 동안의 보유기간(`13.4.1~6.30) 수익률임

매장용 빌딩은 울산(1.76%) 서울(1.57%)순으로 투자수익률을 보인 가운데, 서울, 인천(1.35%)을 제외한 전 시도가 전 분기 대비 수익률이 하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13년 2분기 매장용 빌딩 지역별 투자수익률 현황>
(단위: %,%p)
지역
|
전국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
투자수익률
|
1.25
|
1.57
|
1.36
|
0.95
|
1.35
|
0.73
|
0.68
|
1.76
|
|
전기대비
|
-0.36
|
0.02
|
-0.59
|
-1.00
|
0.08
|
-0.39
|
-0.61
|
-0.06
|
|
지역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투자수익률
|
1.16
|
0.96
|
1.14
|
0.69
|
1.22
|
0.96
|
0.90
|
1.01
|
1.31
|
전기대비
|
-0.60
|
-0.46
|
-0.52
|
-1.41
|
-0.07
|
-0.40
|
-0.82
|
-0.68
|
-0.08
|
※ 투자수익률은 3개월 동안의 보유기간(’13.4.1.~6.30.) 수익률임

[2] 공실률
`13년도 2분기(‘13.6.30. 기준) 공실률은 오피스빌딩이 8.8%, 매장용 빌딩이 9.1%로 전 분기 대비 각각 0.3%p, 0.2%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피스 빌딩은 서울을 포함한 대도시 권역을 중심으로 기업경기 부진에 따른 임대수요 감소와 공급지속 영향으로 공실률이 상승한 가운데 서울은 6.4%, 울산, 경기, 충남, 경남, 제주를 제외한 지역은 10%대 이상의 공실률 수준을 보였다.
매장용 빌딩은 경기침체로 상가시장 약세가 지속되며 공실률이 상승한 가운데 서울은 상대적으로 공실률 수준은 낮으나 전 분기 대비 0.2%p 상승하며 5.5%를 기록하였고, 부산, 울산, 경기, 경남, 제주를 제외한 지역은 10%대 이상의 공실률 수준을 보였다.
< 공실률 추세 >
(단위 : %, %p)
|
구 분
|
`11
|
`12
|
`13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전기대비
|
오피스
|
8.1
|
8.0
|
7.8
|
7.6
|
7.8
|
8.4
|
8.6
|
8.9
|
8.5
|
8.8
|
0.3
|
매장용
|
9.0
|
8.4
|
8.0
|
7.8
|
9.2
|
9.3
|
9.2
|
9.2
|
8.9
|
9.1
|
0.2
|
※ 매분기 마지막 월/일 기준 공실률임
※ ’12년도까지는 8개 시도(서울, 광역시, 경기일부) 주요상권 기준이며, ’13년도부터는 전국기준임
|
<’13년 2분기(6.30.자) 지역별 공실률 현황>
(단위: %)
구분
|
전국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
오피스
|
8.8
|
6.4
|
12.4
|
10.2
|
16.2
|
12.8
|
14.3
|
7.2
|
|
매장용
|
9.1
|
5.5
|
9.0
|
11.3
|
11.8
|
12.7
|
11.4
|
9.6
|
|
구분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오피스
|
9.6
|
14.7
|
10.3
|
8.9
|
17.5
|
14.9
|
10.4
|
7.1
|
3.5
|
매장용
|
7.8
|
11.4
|
16.4
|
10.7
|
15.4
|
11.5
|
13.9
|
7.2
|
7.7
|
※ 매분기 마지막 월/일 기준 공실률임
[3] 임대료
한편, 2분기(`13.6.30.기준) 임대료는 오피스빌딩이 14.9천원/㎡로 전분기와 동일하였으며, 매장용 빌딩은 31.3천원/㎡으로 전 분기 대비 0.2천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피스 빌딩은 인천(9.6천원/㎡)과 경북(7.4천원/㎡)이 각각 1.6천원/㎡, 0.1천원/㎡ 하락하였으며, 울산, 경기, 강원은 0.1천원/㎡ 상승, 그 외 지역은 보합인 것으로 나타났다.
매장용 빌딩은 서울(59.6천원/㎡)이 0.7천원/㎡ 상승하며 가장 높은 반면, 경기, 충북과 제주는 소폭 하락하였다.
< 임대료 추세 >
(단위: 천 원/㎡)
|
구 분
|
`11
|
`12
|
`13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전기대비
|
오피스
|
15.0
|
15.1
|
15.1
|
15.2
|
15.4
|
15.4
|
15.5
|
15.5
|
14.9
|
14.9
|
0.0
|
매장용
|
42.2
|
42.6
|
42.9
|
43.2
|
44.6
|
45.1
|
45.5
|
45.7
|
31.1
|
31.3
|
0.2
|
※ 임대료는 업무용 빌딩 3층 이상, 매장용 빌딩은 1층 기준이며, 매분기 마지막 월/일 기준임
※ `12년도까지는 8개 시도(서울, 광역시, 경기일부) 주요상권 기준이며, `13년도부터는 전국기준임
※ 임대료는 임차인이 지불하는 임대료를 월세형태로 전환하여 산정한 월세환산 임대료임(관리비 미포함)
|
< `13년 2분기(6.30.자) 지역별 임대료 현황 >
(단위 : 천원/㎡)
구분
|
전국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
오피스
|
14.9
|
20.4
|
8.0
|
7.5
|
9.6
|
6.3
|
5.0
|
8.1
|
|
매장용
|
31.3
|
59.6
|
27.8
|
23.5
|
31.7
|
21.9
|
18.7
|
17.5
|
|
구분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오피스
|
11.9
|
6.8
|
4.1
|
7.2
|
4.1
|
5.9
|
7.4
|
6.5
|
4.6
|
매장용
|
32.1
|
20.0
|
21.0
|
13.4
|
15.2
|
12.1
|
14.5
|
16.3
|
12.1
|
※ 임대료는 업무용 빌딩 3층 이상, 매장용 빌딩은 1층 기준이며, 매분기 마지막 월/일 기준임
※ 임대료는 임차인이 지불하는 임대료를 월세형태로 전환하여 산정한 월세환산 임대료임(관리비 미포함)
[4] 조사 및 발표방법
`13년 2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사례조사는 한국감정원에 위탁하여 실시하였고, 감정평가사 및 조사자 250여 명이 지역조사, 임대인임차인 면담 등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투자정보는 매 분기 조사발표하고 있으며, 국토교통부 국토교통통계누리집(http://stat.molit.go.kr) 및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http://www.r-one.co.kr, Tel. 02-2187-4043, 4050)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별첨: 참고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