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괄) 금년 6월 주택 인허가(△24.4%), 착공(△36.0%)은 전년동월대비 감소한 반면, 분양(+25.4%), 준공(+8.2%) 실적은 증가
* 수도권 : 인허가(△26.4%), 착공(△34.9%), 준공(△11.5%) 감소, 분양(+103.9%) 증가
* 지 방 : 인허가(△22.8%), 착공(△37.1%), 분양(△11.2%) 감소, 준공 (+25.9%) 증가
◈ (인허가) 6월 38천호로, 수도권 및 지방 실적이 모두 감소하면서 전년동월(51천호)대비 24.4% 감소(금년들어 6개월 연속 감소)
도시형생활주택은 8,032호로, 전년동월(10,977호)대비 26.8% 감소(금년들어 6개월 연속 감소)
* 도시형 증감율(전년동기(월)比, %) : (‘13.1〜4) △42→ (5) △16 → (6) △27
◈ (착공) 6월 34천호로, 수도권 및 지방 실적이 모두 감소하면서 전년동월(53천호) 대비 36.0% 감소
* 수도권의 경우, 서울 및 인천은 아파트 물량 위주로 각각 11.1%, 492.2% 증가
◈ (분양) 6월 40천호로, 수도권 대규모 분양(+103.9%)으로 전년동월(32천호)대비 25.4% 증가(지방 11.2% 감소)
* 서울은 가재울뉴타운4(4,300호), 신내지구(1,195호) 분양 등으로 237.8% 증가
◈ (준공) 6월 40천호로, 지방 아파트 실적증가(+42.7%)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8.2% 증가(수도권 아파트 15.5% 감소)
* 비아파트의 경우, 수도권(△6.3%), 지방(△2.8%) 모두 실적 감소
◈ (입주예정) 향후 3개월(‘13.8~10)간 입주예정 아파트는 총 44천호
[ 1. 인허가 실적 ]
금년 6월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은 전국 38,208호(수도권 16,570호, 지방 21,638호)로 전년동월대비 24.4% 감소하여 금년들어 6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 및 추이〉
구 분
|
2011
|
|
2012
|
2013
|
계
|
6월
|
1~6월
|
5월
|
6월
|
1-6월
|
인허가실적(호)
|
549,594
|
586,884
|
50,534
|
238,465
|
35,546
|
38,208
|
180,263
|
전년(동월)비(%)
|
+42.2%
|
+6.8%
|
+58.6%
|
+35.3%
|
△22.9%
|
△24.4%
|
△24.4%
|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전년동월대비 26.4% 감소하였고, 지방도 22.8%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지역별 인허가실적 >
(단위 : 호, %)
구 분
|
2011
|
|
2012
|
2013
|
계
|
6월
|
1~6월
|
|
|
|
|
6월
|
전년동월비
|
1~6월
|
전년동기비
|
전 국
|
549,594
|
586,884
|
50,534
|
238,465
|
38,208
|
△24.4%
|
180,263
|
△24.4%
|
수도권
|
272,156
|
269,290
|
22,512
|
98,848
|
16,570
|
△26.4%
|
73,979
|
△25.2%
|
(서울)
|
88,060
|
86,123
|
6,865
|
36,304
|
6,809
|
△0.8%
|
29,335
|
△19.2%
|
(인천)
|
35,905
|
32,132
|
6,304
|
15,639
|
2,239
|
△64.5%
|
9,135
|
△41.6%
|
(경기)
|
148,191
|
151,035
|
9,343
|
46,905
|
7,522
|
△19.5%
|
35,509
|
△24.3%
|
지 방
|
277,438
|
317,594
|
28,022
|
139,617
|
21,638
|
△22.8%
|
106,284
|
△23.9%
|
* 지역‧유형‧사업주체‧규모별 인허가 실적은 <붙임1> 참고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19,956호(전체물량의 52.2%)로 전년동월대비 34.8% 감소하였으며, 아파트외 주택(18,252호)도 8.4% 감소하였다.
- 도시형생활주택도 전국 8,032호가 인허가 되어, 전년동월(10,977호) 대비 26.8% 감소하여 금년들어 6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금년 1~6월 누계기준으로도 33.7%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체별로는, 민간은 36,495호로 전년동월대비 18.0% 감소하였고, 공공은 1,713호 71.6% 크게 감소하였다.
< 유형별·주체별 인허가실적 >
(단위 : 호, %)
구 분
|
2011
|
|
2012
|
2013
|
계
|
6월
|
1~6월
|
|
|
|
|
6월
|
전년동월비
|
1~6월
|
전년동기비
|
전 국
|
549,594
|
586,884
|
50,534
|
238,465
|
38,208
|
△24.4%
|
180,263
|
△24.4%
|
유
형
별
|
아파트
|
356,762
|
376,086
|
30,610
|
127,396
|
19,956
|
△34.8%
|
97,178
|
△23.7%
|
아파트외
|
192,832
|
210,798
|
19,924
|
111,069
|
18,252
|
△8.4%
|
83,085
|
△25.2%
|
주
체
별
|
공공
|
115,349
|
109,609
|
6,027
|
13,679
|
1,713
|
△71.6%
|
7,926
|
△42.1%
|
민간
|
434,245
|
477,275
|
44,507
|
224,786
|
36,495
|
△18.0%
|
172,337
|
△23.3%
|
* 아파트 외 : 단독·다가구·연립·다세대 등
[ 2. 착공 실적 ]
금년 6월 주택 착공실적은 전국 34,233호(수도권 17,273호, 지방 16,960호)로서, 전년동월대비 36.0% 감소하면서 5월에 이어 2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주택건설 착공 실적 및 추이〉
구 분
|
2011
|
|
2012
|
2013
|
계
|
6월
|
1~6월
|
5월
|
6월
|
1-6월
|
착공실적(호)
|
424,269
|
480,995
|
53,476
|
225,273
|
29,677
|
34,233
|
181,984
|
전년(동월)비(%)
|
+106.9%
|
+13.4%
|
+82.7%
|
+40.1%
|
△35.8%
|
△36.0%
|
△19.2%
|

* 착공실적은 2011년부터 통계자료 생산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서울 및 인천지역 실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경기지역 착공물량이 크게 감소하면서 전년동월대비 34.9% 감소한 17,273호가 착공되었고, 지방도 37.1% 감소한 16,960호가 착공된 것으로 나타났다.
※ 주요 착공지역 : 용현학익(3,971호), 김포풍무(2,712호), 세종(1,910호) 등
< 지역별 착공실적 >
(단위 : 호, %)
구 분
|
2011
|
|
2012
|
2013
|
계
|
6월
|
1~6월
|
|
|
|
|
6월
|
전년동월비
|
1~6월
|
전년동기비
|
전 국
|
424,269
|
480,995
|
53,476
|
225,273
|
34,233
|
△36.0%
|
181,984
|
△19.2%
|
수도권
|
196,515
|
209,033
|
26,515
|
97,484
|
17,273
|
△34.9%
|
77,146
|
△20.9%
|
(서울)
|
77,657
|
73,274
|
4,294
|
39,308
|
4,771
|
11.1%
|
23,788
|
△39.5%
|
(인천)
|
20,795
|
14,464
|
785
|
6,823
|
4,649
|
492.2%
|
7,400
|
8.5%
|
(경기)
|
98,063
|
121,295
|
21,436
|
51,353
|
7,853
|
△63.4%
|
45,958
|
△10.5%
|
지 방
|
227,754
|
271,962
|
26,961
|
127,789
|
16,960
|
△37.1%
|
104,838
|
△18.0%
|
* 지역‧유형‧사업주체‧규모별 착공 실적은 <붙임3> 참고
유형별로는, 아파트는 20,572호로 전년동월대비 40.2% 감소하였고, 아파트외 주택도 28.4% 감소한 13,661호가 착공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체별로는, 민간은 32,724호가 착공되어, 전년동월대비 2.1% 증가하였으나, 공공은 전년동월대비 93.0% 크게 감소한 1,491호로 집계되었다.
< 유형별·주체별 착공실적 >
(단위 : 호, %)
구 분
|
2011
|
|
2012
|
2013
|
계
|
6월
|
1~6월
|
|
|
|
|
6월
|
전년동월비
|
1~6월
|
전년동기비
|
전 국
|
424,269
|
480,995
|
53,476
|
225,273
|
34,233
|
△36.0%
|
181,984
|
△19.2%
|
유
형
별
|
아파트
|
252,495
|
287,727
|
34,398
|
122,674
|
20,572
|
△40.2%
|
103,977
|
△15.2%
|
아파트외
|
171,774
|
193,268
|
19,078
|
102,599
|
13,661
|
△28.4%
|
78,007
|
△24.0%
|
주
체
별
|
공공
|
86,715
|
97,761
|
21,419
|
33,180
|
1,491
|
△93.0%
|
21,259
|
△35.9%
|
민간
|
337,554
|
383,234
|
32,057
|
192,093
|
32,742
|
2.1%
|
160,725
|
△16.3%
|
* 아파트 외 : 단독·다가구·연립·다세대 등
[ 3. 분양(승인) 실적 ]
금년 6월 공동주택 분양(승인)실적은 전국 40,221호(수도권 20,779호, 지방 19,422호)로 전년동월대비 25.4% 증가하여 금년들어 처음으로 증가세로 전환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국 공동주택 분양(승인) 실적 및 추이〉
구 분
|
2011
|
|
2012
|
2013
|
계
|
6월
|
1~6월
|
5월
|
6월
|
1-6월
|
분양실적(호)
|
284,923
|
297,964
|
32,081
|
145,519
|
29,236
|
40,221
|
126,389
|
전년(동월)비(%)
|
+41.8%
|
+4.6%
|
+25.7%
|
+19.4%
|
△21.5%
|
+25.4%
|
△13.1%
|

지역별로, 수도권은 서울 및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재개발, 택지지구에서의 대규모 분양*으로 전년동월대비 103.9% 증가한 20,799호가 분양승인된 반면, 지방은 19,422호로 1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주요 분양지역 : 가재울뉴타운4(재개발, 4,300호), 경기 일산(2,404호), 김포풍무(2,712호) 등
< 지역별 공동주택 분양(승인)실적>
(단위 : 호, %)
구 분
|
2011
|
|
2012
|
2013
|
계
|
6월
|
1~6월
|
|
|
|
|
6월
|
전년동월비
|
1~6월
|
전년동기비
|
전 국
|
284,923
|
297,964
|
32,081
|
145,519
|
40,221
|
25.4%
|
126,389
|
△13.1%
|
수도권
|
120,415
|
103,602
|
10,203
|
49,938
|
20,799
|
103.9%
|
50,042
|
0.2%
|
(서울)
|
38,390
|
29,686
|
2,948
|
19,113
|
9,959
|
237.8%
|
12,240
|
△36.0%
|
(인천)
|
10,620
|
17,582
|
890
|
7,864
|
217
|
△75.6%
|
2,441
|
△69.0%
|
(경기)
|
71,405
|
56,334
|
6,365
|
22,961
|
10,623
|
66.9%
|
35,361
|
54.0%
|
지 방
|
164,508
|
194,362
|
21,878
|
95,581
|
19,422
|
△11.2%
|
76,347
|
△20.1%
|
유형별로는, 분양은 27,066호로 전년동월대비 0.2% 증가하였고, 임대 8,784호, 조합 4,371호로 각각 132.1%, 239.1% 크게 증가하였다.
주체별로는, 민간은 22,655호로 전년동월대비 3.3% 감소한 반면, 공공은 서울 및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분양 및 임대물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전년동월대비 103.1% 증가한 17,566호로 집계되었다.
< 유형별·주체별 분양(승인)실적 >
(단위 : 호, %)
구 분
|
2011
|
|
2012
|
2013
|
계
|
6월
|
1~6월
|
|
|
|
|
6월
|
전년동월비
|
1~6월
|
전년동기비
|
전 국
|
284,923
|
297,964
|
32,081
|
145,519
|
40,221
|
25.4%
|
126,389
|
△13.1%
|
유
형
별
|
분양
|
200,481
|
221,969
|
27,008
|
110,628
|
27,066
|
0.2%
|
86,303
|
△22.0%
|
임대
|
56,506
|
51,222
|
3,784
|
19,296
|
8,784
|
132.1%
|
30,168
|
56.3%
|
조합
|
27,936
|
24,773
|
1,289
|
15,595
|
4,371
|
239.1%
|
9,918
|
△36.4%
|
주
체
별
|
공공
|
80,101
|
71,963
|
8,648
|
25,752
|
17,566
|
103.1%
|
41,127
|
59.7%
|
민간
|
204,822
|
226,001
|
23,433
|
119,767
|
22,655
|
△3.3%
|
85,262
|
△28.8%
|
[4. 준공 실적]
금년 6월 주택 준공실적은 전국 39,616호(수도권 15,264호, 지방 24,352)로서, 전년동월대비 8.2% 증가하여 5월 감소세에서 다시 증가세로 전환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국 주택 준공실적 및 추이〉
구 분
|
2011
|
|
2012
|
2013
|
계
|
6월
|
1~6월
|
5월
|
6월
|
1-6월
|
준공실적(호)
|
338,813
|
365,053
|
36,601
|
165,464
|
31,385
|
39,616
|
173,060
|
전년(동월)비(%)
|
△2.3%
|
+7.7%
|
+9.5%
|
+15.8%
|
△1.7%
|
+8.2%
|
+4.6%
|

* 준공통계는 2011년부터 생산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전년동월대비 11.5% 감소한 반면, 지방은 광역시(부산 제외), 강원, 충북, 경북 등에서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실적이 증가하면서 전년동월대비 25.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별 주택 준공실적 >
(단위 : 호, %)
구 분
|
2011
|
|
2012
|
2013
|
계
|
6월
|
1~6월
|
|
|
|
|
6월
|
전년동월비
|
1~6월
|
전년동기비
|
전 국
|
338,813
|
365,053
|
36,601
|
165,464
|
39,616
|
8.2%
|
173,060
|
4.6%
|
수도권
|
187,284
|
199,261
|
17,252
|
88,865
|
15,264
|
△11.5%
|
78,838
|
△11.3%
|
(서울)
|
65,093
|
65,115
|
5,047
|
28,553
|
4,744
|
△6.0%
|
27,368
|
△4.2%
|
(인천)
|
29,662
|
30,176
|
1,927
|
15,931
|
1,135
|
△41.1%
|
4,845
|
△69.6%
|
(경기)
|
92,529
|
103,970
|
10,278
|
44,381
|
9,385
|
△8.7%
|
46,625
|
5.1%
|
지 방
|
151,529
|
165,792
|
19,349
|
76,599
|
24,352
|
25.9%
|
94,222
|
23.0%
|
* 지역‧유형‧사업주체‧규모별 준공 실적은 <붙임3> 참고
유형별로는, 아파트는 25,668호로 전년동월대비 16.8% 증가한 반면, 아파트외 주택은 13,948호로 전년동월대비 4.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도시형생활주택은 전국 6,279호가 준공되어 전년동월(5,423호) 대비 15.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증가세는 점차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도시형 준공실적(전년동기(월)比, %) : (‘13.1~4) 133 → (‘13.5) 66 → (‘13.6) 16
주체별로는, 공공은 서울강남(809호), 부산대연(2,304호), 대전(960호) 등에서의 실적증가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329.5% 증가한 6,267호가 준공되었으나, 민간은 33,349호로 전년동월대비 5.1% 감소하였다.
< 유형별·주체별 준공실적 >
(단위 : 호, %)
구 분
|
2011
|
|
2012
|
2013
|
계
|
6월
|
1~6월
|
|
|
|
|
6월
|
전년동월비
|
1~6월
|
전년동기비
|
전 국
|
338,813
|
365,053
|
36,601
|
165,464
|
39,616
|
8.2%
|
173,060
|
4.6%
|
유
형
별
|
아파트
|
216,686
|
193,561
|
21,985
|
91,150
|
25,668
|
16.8%
|
101,423
|
11.3%
|
아파트외
|
122,127
|
171,492
|
14,616
|
74,314
|
13,948
|
△4.6%
|
71,637
|
△3.6%
|
주
체
별
|
공공
|
101,856
|
43,715
|
1,459
|
24,852
|
6,267
|
329.5%
|
25,789
|
3.8%
|
민간
|
236,957
|
321,338
|
35,142
|
140,612
|
33,349
|
△5.1%
|
147,271
|
4.7%
|
[5. 입주예정(‘13.8~10월) 아파트]
금년 8~10월중 전국 입주예정 아파트는 총 44,053호로, 지역별로는 수도권 16,713호(서울 5,357호), 지방 27,340호로 각각 조사되었다.
월별로는 ’13.8월에 10,952호, 9월 14,343호, 10월 18,758호가 각각 입주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별·월별 아파트 입주예정물량(호) >
구 분
|
합계
|
’13.8월
|
9월
|
10월
|
전 국
|
44,053
|
10,952
|
14,343
|
18,758
|
수도권
|
16,713
|
3,494
|
5,595
|
7,624
|
(서 울)
|
5,357
|
1,807
|
2,524
|
1,026
|
지 방
|
27,340
|
7,458
|
8,748
|
11,134
|
* LH, SH 등 공공사업자와 주택협회의 확인을 거쳐 집계한 것으로, 개별사업장의 사정에 따라 입주시기·물량 등이 일부 변경될 수 있음
주택 규모별로는 60㎡이하 15,278호, 60~85㎡ 21,479호, 85㎡초과 7,296호로서, 85㎡ 이하 중소형 주택이 83.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체별로는 공공 5,534호, 민간 38,519호로 각각 집계되었다.
< 주체별·규모별 아파트 입주예정물량(호) >
구 분
|
합 계
|
규모별
|
주체별
|
60㎡이하
|
60~85㎡
|
85㎡초과
|
공공
|
민간
|
전 국
|
44,053
|
15,278
|
21,479
|
7,296
|
5,534
|
38,519
|
수도권
|
16,713
|
6,416
|
5,209
|
5,088
|
3,653
|
13,060
|
(서 울)
|
5,357
|
1,899
|
2,357
|
1,101
|
640
|
4,717
|
지 방
|
27,340
|
8,862
|
16,270
|
2,208
|
1,881
|
25,459
|
< 주요 지역별 대규모 아파트 입주예정물량 >
구분
|
지역명(호수)
|
‘13.8월
|
서울 동작(882호), 부산기장(1,638호), 부산사상(517호), 울산(922호), 대전유성(293호), 경남 김해(306호), 경남 양산(621호), 제주(614호)
|
9월
|
서울 은평(938호), 서울 강서(790호), 인천청라(590호), 성남판교(1,869호), 부산 정관(1,028호), 대구 동구(854호), 대전(1,053호), 경남 김해(2,675호)
|
10월
|
서울 용산(559호), 인천 송도(3,142호), 경기 시흥(769호), 남양주별내(1,144호), 부산정관(1,128호), 광주 광산(801호), 대전 중구(1,152호), 울산 중구(1,021호)
|

아파트 입주단지에 대한 세부정보는 전월세 지원센터 홈페이지(jeonse.lh.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붙임1】’13.6월 주택 건설 인허가 실적
【붙임2】’13.6월 지역별 주택 건설 인허가 실적
【붙임3】’13.6월 주택 착공, 준공실적
【붙임4】’13.6월 분양(승인)실적 및 7월 계획
【붙임5】’13.8월~‘13.10월 입주예정 아파트
【붙임6】공공부문 입주예정 단지별 세부내용
【붙임7】’13.6월 도시형생활주택 인허가 실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