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허가) 7월 36천호, 전년동월(44천호)대비 17.0% 감소
◈ (착공) 7월 32천호, 전년동월(30천호) 대비 8.6% 증가
◈ (분양) 7월 14천호, 전년동월(15천호)대비 7.0% 감소
◈ (준공) 7월 20천호, 전년동월(32천호)대비 36.2% 감소
◈ (입주예정) 향후 3개월(‘13.9~11)간 입주예정 아파트는 총 60천호
【 1. 인허가 실적 】
금년 7월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은 전국 36,255호(수도권 20,852호, 지방 15,403호)로 전년동월대비 17.0% 감소하여 금년들어 7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전년동월대비 14.4% 감소하였고, 지방도 20.3%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지역별 인허가실적 >
(단위 : 호, %)
구 분
|
2013
|
2012
|
증감율
|
7월
|
1~7월
|
7월
|
1~7월
|
전년동월비
|
전년동기비
|
전 국
|
36,255
|
216,518
|
43,682
|
282,147
|
△17.0%
|
△23.3%
|
수도권
|
20,852
|
94,831
|
24,360
|
123,208
|
△14.4%
|
△23.0%
|
(서울)
|
10,730
|
40,065
|
10,417
|
46,721
|
3.0%
|
△14.2%
|
(인천)
|
719
|
9,854
|
2,193
|
17,832
|
△67.2%
|
△44.7%
|
(경기)
|
9,403
|
44,912
|
11,750
|
58,655
|
△20.0%
|
△23.4%
|
지 방
|
15,403
|
121,687
|
19,322
|
158,939
|
△20.3%
|
△23.4%
|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20,936호(전체물량의 57.7%)로 전년동월대비 16.8% 감소하였으며, 아파트외 주택(15,319호)도 17.2% 감소하였다.
- 도시형생활주택도 전국 7,975호가 인허가 되어, 전년동월(10,257호) 대비 22.2% 감소하여 금년들어 7개월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주체별로는, 민간은 32,391호로 전년동월대비 21.0% 감소한 반면, 공공은 3,864호로 43.6%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유형별·주체별 인허가실적 >
(단위 : 호, %)
구 분
|
2013
|
2012
|
증감율
|
7월
|
1~7월
|
7월
|
1~7월
|
전년동월비
|
전년동기비
|
전 국
|
36,255
|
216,518
|
43,682
|
282,147
|
△17.0%
|
△23.3%
|
유
형
별
|
아파트
|
20,936
|
118,114
|
25,172
|
152,568
|
△16.8%
|
△22.6%
|
아파트외
|
15,319
|
98,404
|
18,510
|
129,579
|
△17.2%
|
△24.1%
|
주
체
별
|
공공
|
3,864
|
11,790
|
2,690
|
16,369
|
43.6%
|
△28.0%
|
민간
|
32,391
|
204,728
|
40,992
|
265,778
|
△21.0%
|
△23.0%
|
* 아파트 외 : 단독·다가구·연립·다세대 등
【 2. 착공 실적 】
금년 7월 주택 착공실적은 전국 32,409호(수도권 17,218호, 지방 15,191호)로서, 전년동월대비 8.6% 증가하면서 최근 2개월 연속 감소 후 증가세로 전환하였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경기지역 물량이 증가하면서 전년동월대비 19.1% 증가한 17,218호가 착공되었으나, 지방은 1.2% 감소한 15,191호가 착공된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별 착공실적 >
(단위 : 호, %)
구 분
|
2013
|
2012
|
증감율
|
7월
|
1~7월
|
7월
|
1~7월
|
전년동월비
|
전년동기비
|
전 국
|
32,409
|
214,393
|
29,836
|
255,109
|
8.6%
|
△16.0%
|
수도권
|
17,218
|
94,364
|
14,462
|
111,946
|
19.1%
|
△15.7%
|
(서울)
|
4,734
|
28,522
|
6,108
|
45,416
|
△22.5%
|
△37.2%
|
(인천)
|
695
|
8,095
|
1,251
|
8,074
|
△44.4%
|
0.3%
|
(경기)
|
11,789
|
57,747
|
7,103
|
58,456
|
66.0%
|
△1.2%
|
지 방
|
15,191
|
120,029
|
15,374
|
143,163
|
△1.2%
|
△16.2%
|
※ 주요 착공지역 : 고양삼송(1,066호), 평택현촌(1,591호), 부산정관(1,035호), 창원현동(1,124호) 등
유형별로는, 아파트는 18,142호로 전년동월대비 33.3% 증가한 반면, 아파트외 주택은 14,267호로 12.1% 감소하였다.
주체별로는, 민간은 25,217호가 착공되어, 전년동월대비 0.7% 감소하였으나, 공공은 7,192호로 61.7% 크게 증가하였다.
< 유형별·주체별 착공실적 >
(단위 : 호, %)
구 분
|
2013
|
2012
|
증감율
|
7월
|
1~7월
|
7월
|
1~7월
|
전년동월비
|
전년동기비
|
전 국
|
32,409
|
214,393
|
29,836
|
255,109
|
8.6%
|
△16.0%
|
유
형
별
|
아파트
|
18,142
|
122,119
|
13,612
|
136,286
|
33.3%
|
△10.4%
|
아파트외
|
14,267
|
92,274
|
16,224
|
118,823
|
△12.1%
|
△22.3%
|
주
체
별
|
공공
|
7,192
|
28,451
|
4,447
|
37,627
|
61.7%
|
△24.4%
|
민간
|
25,217
|
185,942
|
25,389
|
217,482
|
△0.7%
|
△14.5%
|
【 3. 분양(승인) 실적 】
금년 7월 공동주택 분양(승인)실적은 전국 14,237호(수도권 7,222호, 지방 7,015호)로 전년동월대비 7.0% 감소하여 6월 증가세에서 다시 감소세로 전환되었다.
지역별로, 수도권은 경기지역 실적 호조로 전년동월대비 26.0% 증가한 반면, 지방은 7,015호로 26.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별 공동주택 분양(승인)실적>
(단위 : 호, %)
구 분
|
2013
|
2012
|
증감율
|
7월
|
1~7월
|
7월
|
1~7월
|
전년동월비
|
전년동기비
|
전 국
|
14,237
|
140,626
|
15,301
|
160,820
|
△7.0%
|
△12.6%
|
수도권
|
7,222
|
57,264
|
5,730
|
55,668
|
26.0%
|
2.9%
|
(서울)
|
2,011
|
14,251
|
2,660
|
21,773
|
△24.4%
|
△34.5%
|
(인천)
|
0
|
2,441
|
601
|
8,465
|
순감
|
△71.2%
|
(경기)
|
5,211
|
40,572
|
2,469
|
25,430
|
111.1%
|
59.5%
|
지 방
|
7,015
|
83,362
|
9,571
|
105,152
|
△26.7%
|
△20.7%
|
* 주요 분양 지역 : 고양삼송(1,066호), 화성향남(1,124호), 부산정관(1,035호), 청주율량(1,122호) 등
유형별로는, 분양 7,333호, 조합 403호로 전년동월대비 각각 30.2%, 53.1% 감소하였으나, 임대는 6,501호로 65.0% 크게 증가하였다.
주체별로는, 민간은 6,174호로 전년동월대비 19.4% 감소한 반면, 공공은 5.6% 증가한 8,063호로 집계되었다.
< 유형별·주체별 분양(승인)실적 >
(단위 : 호, %)
구 분
|
2013
|
2012
|
증감율
|
7월
|
1~7월
|
7월
|
1~7월
|
전년동월비
|
전년동기비
|
전 국
|
14,237
|
140,626
|
15,301
|
160,820
|
△7.0%
|
△12.6%
|
유
형
별
|
분양
|
7,333
|
93,636
|
10,501
|
121,129
|
△30.2%
|
△22.7%
|
임대
|
6,501
|
36,669
|
3,940
|
23,236
|
65.0%
|
57.8%
|
조합
|
403
|
10,321
|
860
|
16,455
|
△53.1%
|
△37.3%
|
주
체
별
|
공공
|
8,063
|
49,190
|
7,637
|
33,389
|
5.6%
|
47.3%
|
민간
|
6,174
|
91,436
|
7,664
|
127,431
|
△19.4%
|
△28.2%
|
【 4. 준공 실적 】
금년 7월 주택 준공실적은 전국 20,309호(수도권 8,918호, 지방 11,391)로서, 전년동월대비 36.2% 감소하였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전년동월대비 43.4% 크게 감소하였고, 지방도 전년동월대비 29.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별 주택 준공실적 >
(단위 : 호, %)
구 분
|
2013
|
2012
|
증감율
|
7월
|
1~7월
|
7월
|
1~7월
|
전년동월비
|
전년동기비
|
전 국
|
20,309
|
193,369
|
31,813
|
197,277
|
△36.2%
|
△2.0%
|
수도권
|
8,918
|
87,756
|
15,743
|
104,608
|
△43.4%
|
△16.1%
|
(서울)
|
3,859
|
31,227
|
4,111
|
32,664
|
△6.1%
|
△4.4%
|
(인천)
|
529
|
5,374
|
876
|
16,807
|
△39.6%
|
△68.0%
|
(경기)
|
4,530
|
51,155
|
10,756
|
55,137
|
△57.9%
|
△7.2%
|
지 방
|
11,391
|
105,613
|
16,070
|
92,669
|
△29.1%
|
14.0%
|
* 지역‧유형‧사업주체‧규모별 준공 실적은 <붙임2> 참고
유형별로는, 아파트는 5,271호로 전년동월대비 67.8% 크게 감소하였고, 아파트외 주택도 15,038호로 전년동월대비 2.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체별로는, 공공은 전년동월대비 71.2% 감소한 1,040호가 준공되었고, 민간도 전년동월대비 31.7% 감소한 19,269호가 준공되었다.
< 유형별·주체별 준공실적 >
(단위 : 호, %)
구 분
|
2013
|
2012
|
증감율
|
7월
|
1~7월
|
7월
|
1~7월
|
전년동월비
|
전년동기비
|
전 국
|
20,309
|
193,369
|
31,813
|
197,277
|
△36.2%
|
△2.0%
|
유
형
별
|
아파트
|
5,271
|
106,694
|
16,355
|
107,505
|
△67.8%
|
△0.8%
|
아파트외
|
15,038
|
86,675
|
15,458
|
89,772
|
△2.7%
|
△3.4%
|
주
체
별
|
공공
|
1,040
|
26,829
|
3,609
|
28,461
|
△71.2%
|
△5.7%
|
민간
|
19,269
|
166,540
|
28,204
|
168,816
|
△31.7%
|
△1.3%
|
【 5. 입주예정(‘13.9~11월) 아파트 】
금년 9~11월중 전국 입주예정 아파트는 총 59,562호로, 지역별로는 수도권 26,134호(서울 6,596호), 지방 33,428호로 각각 조사되었다.
월별로는 ’13.9월에 15,798호, 10월 21,376호, 11월 22,388호가 각각 입주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별·월별 아파트 입주예정물량(호) >
구 분
|
합계
|
’13.9월
|
10월
|
11월
|
전 국
|
59,562
|
15,798
|
21,376
|
22,388
|
수도권
|
26,134
|
6,075
|
7,678
|
12,381
|
(서 울)
|
6,596
|
2,732
|
1,654
|
2,210
|
지 방
|
33,428
|
9,723
|
13,698
|
10,007
|
* LH, SH 등 공공사업자와 주택협회의 확인을 거쳐 집계한 것으로, 개별사업장의 사정에 따라 입주시기·물량 등이 일부 변경될 수 있음
주택 규모별로는 60㎡이하 20,277호, 60~85㎡ 30,304호, 85㎡초과 8,981호로서, 85㎡ 이하 중소형 주택이 84.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체별로는 공공 16,920호, 민간 42,642호로 각각 집계되었다.
< 주체별·규모별 아파트 입주예정물량(호) >
구 분
|
합 계
|
규모별
|
주체별
|
60㎡이하
|
60~85㎡
|
85㎡초과
|
공공
|
민간
|
전 국
|
59,562
|
20,277
|
30,304
|
8,981
|
16,920
|
42,642
|
수도권
|
26,134
|
9,403
|
9,952
|
6,779
|
11,003
|
15,131
|
(서 울)
|
6,596
|
2,574
|
2,036
|
1,986
|
1,540
|
5,056
|
지 방
|
33,428
|
10,874
|
20,352
|
2,202
|
5,917
|
27,511
|
< 주요 지역별 대규모 아파트 입주예정물량 >
구분
|
지역명(호수)
|
‘13.9월
|
서울 은평(938호), 서울 강서(790호), 인천청라(590호), 성남판교(1,869호), 부산 기장(1,249호), 대구 동구(854호), 대전(1,053호), 경남 김해(2,675호)
|
10월
|
서울 용산(559호), 인천 송도(3,142호), 남양주별내(1,144호), 부산정관(1,128호), 광주 광산(1,130호), 대전 중구(1,152호), 울산 중구(1,021호), 충남 천안(1,702호), 전주송천(966호), 경남 거제(1,090호), 김해율하(999호)
|
11월
|
서울강남(969호), 서울 방배(744호), 고양삼송(1,630호), 고양원흥(1,392호), 수원광교(1,338호), 의정부민락(913호), 부산 명륜(1,409호), 청주율량(1,099호), 경남 양산(1,292호), 목포용해(790호), 전북혁신(656호)
|

아파트 입주단지에 대한 세부정보는 전월세 지원센터 홈페이지(jeonse.lh.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붙임1】’13.7월 주택 건설 인허가 실적
【붙임2】’13.7월 주택 착공, 준공실적
【붙임3】’13.7월 분양(승인)실적 및 8월 계획
【붙임4】’13.7월 도시형생활주택 인허가 실적
【붙임5】’13.9월~‘13.11월 입주예정 아파트 단지 현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