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7월 전국 땅값 0.02% 올라 안정세 지속
기관
등록 2013/08/26 (월)
파일 130826(석간) '13년 7월 지가동향 및 토지거래량(토지정책과).hwp
내용





 【 ’13.7월 지가 】

 국토교통부(장관 : 서승환)는 7월 전국 지가가 전월 대비 0.02% 상승하여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現 지가는 금융위기 발생 전 고점(’08.10월) 보다 0.48% 높은 수준이다.
 

  < 전국 월간 지가변동률 추이(%) >

‘12

‘13

7

8

9

10

11

12

1

2

3

4

5

6

7

0.07

0.03

0.02

0.06

0.07

0.08

0.03

0.07

0.11

0.13

0.13

0.11

0.02

 

  < 지역별 지가변동률(%) >

구분

전국

수도권

서울

인천

경기

지방

'13.7월 지변율

0.02

0.003

-0.04

-0.01

0.05

0.05

고점대비(’08.10)

0.48

-0.67

-2.56

0.86

1.19

2.61



 [1] 행정구역별

 서울시(-0.04%)는 ’13.1월 이후 6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으며, 송파구(0.12%) 등을 제외한 22개 자치구의 지가가 하락하였다.


  * [서울시 지변율(%)] -0.06(’13.1월) → 0.06(2월) → 0.11(3월) → 0.16(4월) → 0.15(5월) → 0.10(6월) → -0.04(7월)



 세종시는 0.39% 올라 2개월 만에 다시 전국 최고를 기록하였다. 
 

  < 세종시 월간 지가변동률 추이 > 

 


 전국적으로 지가 안정세가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중앙행정기관 이전이 진행되고 있는 세종시와 고속도로 개통으로 접근성이 개선된 부산시 기장군이 가장 많이 올랐다. 
 

  < 지가변동률 상위 5개 지역 >

순위

행정구역명

변동률(%)

변 동 사 유

1

세종특별자치시

0.388

순수토지거래 증가, 정부기관의 이주 및 도시기반시설 확대조성 영향 등

2

부산광역시 기장군

0.334

부산-울산간 고속도로 개통 등 접근성 개선, 각종 개발사업 영향 등

3

전라남도 신안군

0.258

연륙교, 연도교 공사 및 국지적 개발 시행 영향 등

4

경상북도 예천군

0.255

경북도청 이전 신도시 조성사업, 주거지역 토지거래량 증가 등

5

경기도 화성시

0.238

동탄2지구 택지개발사업 및 제2서해안고속도로 사업 영향 등



 반면, 수원시 장안구, 서울시 용산구 등 개발사업이 부진한 지역을 중심으로 지가가 하락하였다.
 

  < 지가변동률 하위 5개 지역 >

순위

행정구역명

변동률(%)

변 동 사 유

1

경기도 수원장안구

-0.214

대규모 개발사업 부재, 경기침체로 인한 거래량 감소 영향 등

2

서울특별시 용산구

-0.195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 무산에 따른 가격수준 하락 등

3

경기도 안산단원구

-0.155

경기침체 및 취득세 감면 혜택 종료로 인한 거래 침체 영향 등

4

서울특별시 도봉구

-0.139

창동 민자역사 건립사업의 장기 중단 사태, 재개발 사업 둔화 등

5

인천광역시 옹진군

-0.130

대규모 개발사업 부재, 거래량 및 거래금액 감소 영향 등



 [2] 용도지역·이용상황별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0.04%)은 하락하였으며, 상업지역(0.09%), 공업지역(0.07%), 녹지지역(0.06%)은 6월 보다 상승폭이 감소하였다.
 

  <용도지역별 지가 동향(전월대비, %) >

구 분

도시지역

도시지역

주거

상업

공업

녹지

관리

농림

자연환경

보전

생산

계획

‘13.5

0.16

0.08

0.08

0.09

0.08

0.07

0.19

0.03

0.07

6

0.11

0.15

0.13

0.09

0.03

0.06

0.14

-0.04

0.07

7

-0.04

0.09

0.07

0.06

0.04

0.07

0.16

-0.005

0.07



 이용상황별로는 주거용 대지(-0.06%)는 하락하였고, 상업용 대지(0.05%)와 공장용지(0.07%)는 6월 보다 상승폭이 감소하였다.
 

  < 이용상황별(지목별) 지가 동향(전월대비, %) >

구 분

농지

대지

임야

공장

용지

기타

주거용

상업용

‘13.5

0.10

0.08

0.15

0.11

0.05

0.10

-0.01

6

0.08

0.03

0.07

0.13

0.05

0.11

-0.22

7

0.07

0.05

-0.06

0.05

0.05

0.07

0.39



【 ’13.7월 토지거래량 】

 전체 토지거래량은 총 169,415필지, 147,288천㎡로 전년 동월(167,463필지, 136,135천㎡) 대비 ① 필지수 1.2% 증가, ② 면적 8.2% 증가하였으며,

  전월 대비 필지수 31.0% 감소, 면적 7.7% 감소하였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총 79,479필지, 138,780천㎡로 전년 동월(79,154필지, 126,871천㎡) 대비 ① 필지수 0.4% 증가, ② 면적 9.4% 증가하였으며,


   * 순수토지란 건축물 부속토지 거래를 제외한 토지만으로 거래되는 토지를 의미하며, 7월 전체 토지거래량의 필지수 46.9%, 면적 94.2%를 차지



  전월 대비 필지수 9.6% 증가, 면적 4.1% 감소하였다. 
 

  < 월간 토지거래량 추이(필지수 기준) >  



 《 붙임 》 1. ’13.7월 참고 그래프 
                2. ’13.7월 지가동향 
                3. ’13.7월 토지거래량 
                4. ’13.7월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증감률 색인도

 

☞ 지가변동률과 토지거래량에 대한 상세한 자료는 ‘온나라 부동산정보 통합포털’(www.onnara.go.kr), ‘국토교통 통계누리’(stat.molit.go.kr) 또는 ‘R-ONE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www.r-one.co.kr)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