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국내 최초 민간 무인항공기 실용화 기술 개발 추진
기관
등록 2013/08/28 (수)
파일 130829(조간) 국내 최초 민간 무인항공기 실용화 기술 개발 추진(항공산업과).hwp
내용





< 민간 무인항공기 실용화 기술 개발 개념도 >

실용화 가능한 민간무인기 개발

 

운영관리 체계 개발

 

활용 범위

 

   * 일자리창출 효과 3,400, 생산유발효과 약 7,144억 원(근거: 기획연구)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민간 무인항공기 국산화 및 운영기반 구축을 위한 “민간 무인항공기 실용화기술 개발” 연구 개발 사업을 2013년부터 2022년까지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세계적으로 무인항공기는 군사용 위주로 개발·사용되어 왔으며 민간부문에는 150kg 미만의 무인비행장치로 제한 사용되어 왔으나,

  - 최근 무인항공기 기술의 첨단화와 민간부문 수요가 계속 증가하면서 차세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어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민간무인항공기 운영을 제도화(‘12.11월) 함에 따라, 미국·캐나다 등 외국에서도 민간무인항공기 실용화기술 개발을 경쟁적으로 추진 중에 있음


   * 세계 무인항공기 시장은 ‘13년 7조원에서 ’23년에는 13조원 규모로 年 약 6%씩 급성장, 국내 시장은 향후 15년간 약 1.6조원 예상



 국토부에서 추진하게 될 민간무인항공기의 실용화기술 개발 추진 방향은 안전성 인증체계를 구축하고 실용화가 가능한 민간 무인항공기 시제기를 개발하여 시범운영·운영관리기술 및 해외 수출기반도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 우리나라의 경우 스마트 무인기(연구용도) 개발 경험 등 민간무인항공기 제작 기초기술이 외국에 앞서 있어 이번 실용화기술 개발을 계획대로 추진할 경우 세계시장 진출·점유도 유리한 상황임


   * 1단계(‘13~’14, 안전성 인증기준 개발 등 준비단계) → 2단계(‘15~’22, 시제기 개발 등 실용화기술 개발 및 시범운영)

   * 2단계 개발 사업 추진을 위한 사전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13.7월)하여 관계부처(기획재정부·미래창조과학부 등)와 협의 진행 중임



 위와 같이 민간무인항공기 실용화기술을 개발할 경우 다양한 국산 민간 무인항공기의 개발과 보급기반을 갖추게 되어,

  - 국토·해양감시, 항공촬영, 농약살포, 산불감시·진화, 응급환자 수송, 수색 구조, 기상관측 등 다목적 활용과 안전한 무인항공기 운영체계 구축을 통하여 항공사고 예방에도 크게 기여

  - 교통인프라가 부족한 산간·도서지역에 24시간 긴급 항공서비스 제공, 국가 재난사고 대응(피해지역 실시간 상황전파 등), 산불·해양감시 등을 무인항공기로 대체 활용이 가능하여 국가 균형발전에도 도모

  - 또한, 국내에 개발된 민간무인항공기 기초기술의 실용화를 유도하고 부가가치가 높은 무인항공기산업을 미래 창조경제산업으로 육성하여 일자리창출(약 3,400명) 등 항공 산업 발전에 기여


   * 민간무인항공기 실용화기술(안전성 인증·운영관리체계 등)을 개발 구축하지 않을 경우 그동안 국내에서 연구용으로 개발한 무인기 기초기술(스마트 무인기 등)의 활용 및 수출도 곤란



 국토교통부는 민간 무인항공기급 뿐만 아니라 중형항공기급 및 미래형 개인용항공기(PAV)급 실용화기술 개발, 위성을 이용한 항행지원기술, 지능형 공항운영기술 개발 등 항공안전 확보와 낙후된 우리나라 항공산업 선진화를 위한 항공 연구 개발 사업을 확대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