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1m 이내 손금보듯 실시간 위치파악” 현실로 ... 내년 개발 착수
기관
등록 2013/09/03 (화)
파일 130903(석간) SBAS 개발 추진 실시간 1m 위치정보 제공(항행시설과).hwp
내용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우리나라 하늘, 땅, 바다 등 全 국토에 인공위성을 통해 실시간 1m 이내의 정밀 위치정보를 제공해 주는 “초정밀 GPS 보정시스템, 즉 SBAS(에스바스)”를 내년 부터 개발에 착수하여 2018년 시험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현재 대표적인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인 GPS는 17~37m까지 오차가 생겨 정확성이 떨어지고 신뢰성이 낮아 항공기와 같이 정밀한 위치정보가 필요한 분야에서는 활용에 제한이 많고, 자동차 네비게이터 등 위치기반서비스 이용에도 많은 오류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SBAS는 GPS가 가지고 있는 위치오차 발생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실시간 1m이하 정밀 위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항공기가 운항하는 空域 수용능력을 증대하고 항공안전 향상을 위해 개발된 국제민간항공기구가 정한 국제표준시스템이다.

  이미, SBAS를 개발하여 운영 중인 미국, 유럽 등에서는 이용이 편리하고 성능도 우수하여 항공, 해양, 교통, 정보통신, 물류, 응급구조 등 모든 분야에서 이를 보편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SBAS 사업이 2013. 8월에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함에 따라, 올해 중 미래창조과학부, 해양수산부, 방위사업청 등과 협의회를 구성하고 협업을 통해 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예정이며 ‘14년 사업 착수, ’18년 시험서비스를 개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SBAS는 GPS를 이용하는 모든 분야에서 단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만으로도 무료 이용이 가능하므로 위치기반산업 모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항공, 자동차, 철도, 선박 등 교통수단에서는 정확한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안전도 향상 및 수용능력이 크게 증대될 수 있으며,

  공간정보 등 위치기반서비스에 적용하면 실내 위치추적, 맞춤형 쇼핑, 빠른 길 찾기, 응급구조 등 국민 생활에 필요한 모든 것을 스마트 폰에 집중시킬 수 있어 정부가 갖고 있는 정보의 공개와 공유로 정부 3.0 정책인 국민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국토교통부 김춘오 항행시설과장은 “SBAS를 통해 4,514개 일자리 제공과 연간 347억 원의 편익이 발생할 것이라며, 특히 항공분야에서는 항공사고 75% 감소, 연간 5만 3천 톤의 탄소배출량 절감 및 4만 2천 배럴의 연료 절감 등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SBAS는 실시간 1m이하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확보된 국가 위치정보 기반시설을 제공할 것이며, 항공안전 향상과 위치기반산업 발전을 통한 고부가가치 일자리 창출로 창조경제 실현의 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