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원장 임주빈)은 영문판 전자지도 제작을 완료하고 10월 1일부터 국내 서비스를 실시한다.
또한, 해외 서비스는 관계기관 협의 및 관계법령 개정 등을 통해 내년부터 실시할 계획이다.
* 영문판 전자지도 : 국토의 현황을 1/25,000 축척으로 표현한 수치지도의 지명에 대해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과 원어민 검증 등을 통해 마련된 가이드라인에 따라 영문으로 제작한 전자지도로서 정부간 국제협정 및 교섭, 민간업체 해외진출(내비게이션, 포털지도 등), 해외관광객 유치 등에 활용
영문판 전자지도는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 지명의 올바른 사용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해외 지도서비스(구글, 빙맵 등) 개선 및 공간정보 산업의 해외진출 지원 등을 위하여 제작하였다
최근 주요 인터넷 등의 해외 지도서비스에서 독도‧동해 등 우리영토와 관련된 지명의 표기 오류가 종종 발생되고 있어,
* 지명은 국제협력뿐만 아니라 모든 공간정보(위치기반서비스, 가상/증강현실 등) 관련 산업의 기본으로, 다양한 분야와의 협업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창조산업의 중요한 융합 기반 인프라
국제사회에 우리나라 지명을 명확하게 각인시키고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한 적극적인 지명관리와 지도의 해외반출 등 대외의 요구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해외 지도서비스의 국내 지명표기 오류가 줄고, 제한적인 국내 서비스 문제도 개선될 전망이다.
* 해외 주요 지도서비스(社)의 지명표기 오류

|

|
|
[Google(지명표기오류)]
|
[Bing (로마자 표기 불일치)]
|
[Yahoo (지명 누락)]
|
또한, 영문판 전자지도는 민간업체(내비게이션, 포털지도 등)의 영문 POI 서비스*에 활용됨으로써, 민간의 개별 구축에 따른 중복투자 비용을 절감하고 해외 관광객 유치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 영문 POI(Point of interest) 서비스 : 인터넷 지도상에서 지명, 지형·지물의 명칭, 상호명, 건물명 등의 검색을 지원하는 서비스
국내 업체에서 교통정보 등을 반영해 최적의 경로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등을 개발하여 해외 수출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제교섭 및 협력, 국내업체의 해외진출 등 공간정보 분야의 창조경제 실현에도 기여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도 책임운영기관인 국토지리정보원은 1/25,000 영문판 전자지도의 효과 등을 검토하여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영문판 전자지도의 제작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