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말죽거리·천마산·마령재…말(午) 지명 744개
기관
등록 2013/12/30 (월)
파일 131231(조간) 지명속에 역동하는 말 이야기(국토지리정보원).hwp
(붙임4) 전국의 말관련 지명(국토지리정보원).xls
내용



 
 국토지리정보원(원장 임주빈)은 2014년 갑오년(甲午年) 말(午)의 해를 맞이하여 말과 관련된 지명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150만 여 개 지명 중 744개가 말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 말과 관련된 지명이 가장 많은 곳은 전라남도로, 전라남도 장성군 남면 녹진리의 ‘마산’ 마을 등 142개의 지명이 확인되었다.

  전라남도에 특히 말 관련 지명이 많이 분포하는 것은, 예로부터 가축 관리가 편리해 말목장이 많이 설치되었던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글자별로 살펴보면, ‘마산’을 비롯하여 ‘천마산’, ‘철마산’, ‘역말’ 등의 지명이 많이 사용되고 있었고, 마을 명칭 외에도 산과 고개에도 말과 관련된 지명이 다수 발견되었다.

 
 말띠를 상징하는 한자는 ‘낮 오(午)’로서 시간으로는 오시(午時)라고 하여 하루 중 태양이 중천에 솟아 대지를 밝히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 사이를 가리킨다.

  달(月)로는 정오의 태양 높이가 가장 높아지며 뜨거운 열기를 뿜어내는 음력 5월을 의미하는데, 우리 조상들이 말을 십이지 동물 중에서도 가장 역동적인 동물로 인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말은 신화와 전설의 주제로도 자주 등장하였는데, 제왕 출현의 징표나 하늘과 교통하는 신성한 영물, 또는 신의를 지키는 동물로 표현되기도 하였다.

  이처럼 말은 힘과 역동성, 그리고 신성성을 상징하는 동물로 우리 조상들의 삶과 문화에 밀접한 관계를 맺어 왔으며, 이러한 이미지가 지명에도 다수 반영되어 있다.

 
 말의 다양한 모습과 관련된 지명이 특히 많이 나타나는데, 봉우리가 말의 귀를 닮았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마이산’, 고개의 모습이 말안장을 얹는 말의 등과 닮은 ‘마령재’ 등이 대표적이다.

 
 말이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이용됨에 따라 장거리 이동시 지친 말을 교환하고 쉬었던 선조들의 생활 모습도 지명으로 남아 전해지고 있다.

  이러한 지명들은 경상북도 상주시 모소면 삼포리의 ‘역마루’, 충청남도 보령시 주포면 관란시의 ‘역말’ 등 ‘역(驛)’과 관련된 지명인 것이 특징이다.

 
 뿐만 아니라 ‘천마산’, ‘용마봉’ 등의 지명에서는 말이 하늘을 나는 천상의 동물로 묘사되어, 우리 조상들이 말을 신성한 동물로 여겼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말의 형상이나 말과 관련된 설화는 우리 지명 속에 깊이 자리 잡아 내려오고 있다.

  책임운영기관인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우리의 문화와 역사가 녹아들어 있는 지명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활용할 수 있도록 지명법 제정을 추진하는 등 지명 관련 제도를 정비 중이다.

 
 2014년 갑오년(甲午年) 말(午)의 해를 맞이하여, 세상을 질주하는 말의 기세처럼 역동적이고 희망찬 한 해가 되길 기원한다.

 
 붙임 참고자료

  1. 말(午) 관련 지명의 분포 및 종류별 현황
  2. 말(午)과 관련된 지명중 동일 지명 사용현황
  3. 말(午)관련 전설이 스며있는 주요지명
  4. 전국의 말(午)관련 지명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