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우리나라 위치가 달라졌어요 ! “지진 영향”
기관
등록 2014/01/21 (화)
파일 140122(조간) 지진 영향으로 우리나라 위치가 달라졌어요(국토지리정보원).hwp
내용

일본지진으로 달라진 우리나라 위치 그림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원장 임주빈)은 2011년 3월에 발생한 일본 대지진의 영향을 반영하여 새로 계산한 국가기준점(위성기준점 79점, 통합기준점 1,200점) 위치값을 고시한다고 밝혔다.
* 일본 대지진 직후 우리나라의 육지는 동쪽방향으로 약 1.3~2.8㎝, 진앙지에서 가장 가까운 울릉도와 독도는 각각 4.1㎝와 5.1㎝ 이동이 있는 것으로 확인

지진이 우리나라에 미친 정확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관계기관과 전문가의 협의를 거쳐 국가기준점 위치 값 변동계산 결과에 대한 검증을 마쳤다.

국가기준점은 건설공사, 지도 및 지적도 제작, 공간정보 구축 등 모든 측량의 기준으로, 부정확할 경우 각종 국토개발 관련 계획 수립과 공사의 부실 및 공간정보 활용에 따른 오류 원인이 된다.
* 국가기준점 : 국토교통부 장관이 전 국토를 대상으로 주요지점마다 설치한 측량의 기본이 되는 기준점(위성기준점, 통합기준점)

지진의 영향으로 변동된 국가기준점의 위치 값 계산을 위하여 2011년 4월부터 2012년 3월까지 축적된 위성기준점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진 전·후의 위치변화를 분석한 결과
* 위성기준점: 인공위성이 송신하는 신호를 24시간 수신하여 임의 지점의 정밀한 GPS측량(수평위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

전국적으로 동쪽방향으로 일관성있게 이동하였으나 그 크기는 지역별로 설치된 위성기준점마다 차이가 있어서 육지지역은 평균 2.16㎝, 최대 3.32㎝의 변화가 발생 하였고, 진앙에서 가장 가까운 울릉도와 독도는 각각 4.64㎝, 5.57㎝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위성기준점을 기준하여 지표에 표석을 묻어 위치를 표시한 통합기준점의 위치값도 새로운 위성기준점 좌표와 연결하여 다시 산출하였다.
* 통합기준점: 수평위치(경위도), 높이 값(해발고도), 중력값을 같이 측정해 놓은 기준점으로 지진 이전인 ‘08~’10년까지 전국 10㎞간격으로 1,200점 설치

지진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국가기준점 좌표를 변경고시 하는 것은 처음으로 이는 상시적으로 GPS위성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상시관측시스템이 전국에 분포되어 있어 지역별로 정밀하게 관측하고 계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었기에 가능한 것이다
* ‘95년 ∼ ’12년까지 79개 관측시스템을 설치 운영

국토지리정보원 관계자는 이번 국가기준점 위치 값 변경 고시가 공간 정보의 위치정확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지진으로 인한 위치 값 변경에 더욱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 앞으로는 전국 79개소에 설치된 GPS신호 수신기(위성기준점)를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실시간으로 자동 계산하여 변화를 측량 사용자에게 즉시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라인 등 전반적인 지진 대응체계를 수립하여 운영할 계획 이라고 밝혔다.

새로 변경고시 된 국가기준점 위치 값은 국토지리정보원 홈페이지(http://www.ngii.go.kr)를 통해 2014년 1월 27일부터 제공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