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13년 항공화물 수송량 전년 대비 소폭(0.7%) 증가
기관
등록 2014/01/23 (목)
파일 140123(석간) '13년 항공화물 수송실적(항공산업과).hwp
내용

2013년 우리나라 항공화물 실적은,
전체 349.9만톤(전년대비0.7%상승)=국제324.6만톤(1.2%상승)+국내25.3만톤(4.7%하락)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13년 항공화물 수송량이 전년 대비 0.7% 증가한 349.9만톤을 기록하였으며, 2010년 이후 지속된 감소세에서 벗어나 ’10년 이후 처음으로 증가세로 전환되었다고 밝혔다.

수출입 물동량은 ’12년에 이어 ’13년에도 감소하였으나, 관광객 증대에 따라 수화물 수송량이 증가하여 전체 수송량은 소폭 증가하였다.



2013년, 2012년 항공화물 수송량

구분

2013

2012

화물

수하물

우편물

총화물

화물

수하물

우편물

총화물

2,563,205

856,492

79,250

3,498,947

2,590,407

814,054

69,597

3,474,058

국내선

133,282

119,170

234

252,686

151,981

112,936

360

265,277

국제선

2,429,923

737,323

79,016

3,246,261

2,438,426

701,118

69,237

3,208,781


국제화물은 ICT(정보통신기술) 제품의 소형화 추세로 인한 일반화물 감소*에도 불구하고, 해외 관광객 증대로 수화물 수송이 증가하여 전년(320.8만톤) 대비 1.2% 증가한 324.6만톤이 수송되었다.
* ICT수출은 ’13년 1,694억불의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14.1.10 산업통상자원부)하였으나, 화물 소형화 추세로 화물 수송량(무게기준)은 감소

지역별로는 ’12년에 이어 미주·유럽·대양주 화물은 감소하고 동남아·중동 화물은 증가했으나, 중국 화물 수송량*은 ’12년과 달리 증가세로 전환되었다.
* 중국화물 수송실적 : ’11년 598,681톤 → ’12년 577,721톤 → ’13년 611,088톤

화물별로는(인천공항의 경우) 환적화물량은 감소(4만톤)하였으나, 수출화물(2.5만톤)과 수입화물(5.1만톤)이 증가하여 총 화물량이 증가하였다.

공항별 화물처리량은 인천공항 1.2% 증가·김포공항 4.6% 감소·김해공항 4.5% 증가(전년 대비)를 나타냈으나, 작년과 마찬가지로 인천공항에서 국제화물의 95% 이상을 처리하였다.

국내화물은 화물 운송력 감소*로 인해 전년(26.5만톤) 대비 4.7% 감소한 25.3만톤이 수송되었으며, 이 중 제주노선이 4.9% 감소(23.3→22.2만톤)하고, 내륙노선이 3.9% 감소(3.19→3.07만톤)하였다.
* (제주노선) 저비용항공사(여객중심) 점유율 확대 및 대한항공 기종변경(A330,25만톤→B737,3만톤)에 따라, 화물 수송여력 감소

(내륙노선) 운항편수 감소(김포-울산 △502, 김포-포항 △177, 김포-여수 △159, 인천-김해 564)

화물 수송실적은 노선별로는 제주-김포, 제주-김해, 김포-김해, 제주-대구, 제주-광주 순이며, 항공사별로는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이스타항공 순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미국·EU 등 선진국 경기회복, 신흥국 스마트기기 및 서비스 확대, 소치동계올림픽(2월)·브라질월드컵(6~7월) 개최에 따른 수요 증가로, '14년 항공화물 물동량은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항공물류 강화방안(13.10월)”에서 밝힌 바와 같이, 신선화물·특송화물 등 수송품목 다변화, 베트남 등 신규 물동량 창출 국가와의 항공노선 신설, 중소형 항공기를 통한 틈새시장 개척, 물동량 창출형 기업유치, 관계부처 협업체널 구축 등을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물동량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