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정부, 올해 385개 공간정보 사업 추진…2,946억원 규모
기관
등록 2014/01/23 (목)
파일 140124(조간) 공간정보정책 심의를 위한 국가공간정보위원회 개최(국토정보정책과).hwp
내용

정부는 공간정보 융복합 산업 활성화 및 정부 3.0을 지원하기 위해 2013년 수립한 제5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13 ~ 2017)의 세부 추진을 위하여 2014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 공간 빅데이터 체계 구축계획, 국가 공간정보 창의인재 양성계획 등 3개의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에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3개 계획을 최종 확정하기 위하여 1.24일(금)에 국가공간정보위원회(위원장 : 국토교통부 장관)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14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 ☞ 385개 공간정보 사업 확정

금번 확정된 2014년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금년도 중앙·지자체가 시행하는 385개 공간정보 사업에 2,946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 국가공간정보에 관한 법률 제7조에 따라 매년 수립하는 법정계획으로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에 근거한 각 기관별 당해연도 시행계획으로 구성

세부적인 투자 내역을 보면, 공간정보 융복합 산업의 발전과 3차원 및 실내공간정보 등의 고품질 공간정보 구축분야에 가장 많은 예산(2,479억)을 투자하며 부동산 행정정보 일원화 등 공간정보 활용 확산사업(238억), 공간정보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가 공간정보 기반조성 사업(222억) 순으로 투자한다.

아울러, 2014년도 공간정보 사업에는 공간 빅데이터 체계 구축, 공간정보 창의인재 양성 등 금번 위원회에서 심의·확정된 2건의 사업도 포함되는데,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공간 빅데이터 체계 구축 ☞ 과학행정 구현 및 국민 맞춤형 서비스 제공

공간 빅데이터 체계는 빅데이터로부터 신속하고 정확하게 의미있는 분석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지리정보체계(GIS) 기반의 공간분석 기법을 활용하는 체계를 말한다.

공간 빅데이터 체계 구축사업은 공간정보와 행정정보, SNS 등의 민간정보를 융복합한 공간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체계*를 마련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며, 2016년까지 단계적으로 추진된다.

총 588종의 공간정보, 행정정보, 민간정보*로부터 의미있는 정보를 추출하여, 공간정보 기반의 융합 DB 80종(‘14년 : 15종, ’15년 : 40종, ‘16년 : 25종)을 구축하고, 구축된 융합DB를 분석하여 부동산 수요패턴 분석, 맞춤형 철도관광상품 등 신규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해 다양한 분석모델(총 51개, ’14년 : 14개, ‘15년 : 17개, ’16년 : 17개)도 개발한다.
* (공간정보) 지형, 지적 등 기본공간정보와 문화재, 임상도 등 주제도(행정정보) 인구, 소득, 기상정보, 부동산가격, 교통량 등 대장정보(민간정보) SNS 동향, 주요 게시물, 검색정보 등

아울러, 구축된 공간 빅데이터를 각 기관들이 정책수립 및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공간빅데이터 활용지원센터를 설치하고, 공간빅데이터를 공간정보 오픈플랫폼(V-World)을 통해 민간에도 개방하는 등 활용을 적극 촉진한다.

공간정보 창의인재 ☞‘18년까지 공간정보 창의인재 2000명 양성

국가 공간정보 창의인재 양성계획(‘14 ~’18)은, “창조경제와 정부3.0을 선도하는 공간정보 인재강국 실현”을 비전으로 하여 2018년까지 공간정보 창의인재 2천명을 양성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 ‘14년 : 255명, ’15년 : 425명, ‘16년 : 425명, ’17년 : 435명, ‘18년 : 460명

국가 공간정보 창의인재 양성계획

. 산업맞춤형 
     교육 강화

-1. 공간정보 특성화고교 / 전문대 육성
-2. 공간정보 융복합 핵심인재 양성
-3. 취업예정자 고용연계 아카데미 운영
-4. 재직자 직무역량 아카데미 운영

. 청소년
    창의인재 양성

-1. 초중고 공간정보 창의동아리 지원
-2. V-world를 활용한 초중고 디지털교육 지원

. 스마트
    교육환경 조성

-1. 온라인교육 포탈 확대 개편
-2. 공간정보 교육 인증제도 마련


Ⅰ) 산업맞춤형 교육 강화, Ⅱ) 청소년 창의인재 양성, Ⅲ) 스마트 교육환경 조성을 주요과제로 설정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8대 세부추진과제를 도출하였으며, 그간 석·박사 위주의 인재양성 사업이 산업현장에 필요한 인력을 적절하게 공급하는데 미흡하다는 지적에 따라, 공간정보 특성화고 육성*, 취업예정자 고용연계 아카데미 운영** 등의 과정을 신설하여 산업맞춤형으로 수립된 것이 특징이다.
* ‘14년 4개교를 지정(학교당 연 1억원 지원), DB/SW 기능교육을 실시후 재학생의 산업체 현장실습, 인턴십을 지원하는 등 취업연계교육 실시
** 산학연관 협력으로 집중훈련과정 운영(25명 내외, 3-6개월 실무교육), 공간정보 산업체와 협약을 통해 고용 보장


이 밖에도, 금년도에는 민간의 공간정보 활용 확대를 위한 오픈플랫폼 인프라 고도화, 부동산 행정정보 일원화, 스마트 팜 맵 구축 등 국정과제 실현을 위한 부처간 협력사업, 국민의 생활·안전분야에 공간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이 추진된다.

국토교통부는 금번 위원회를 통해 국가 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13~2017)의 추진발판을 마련함으로써 공간정보 산업이 한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