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2013년 국적 저비용항공사 수송량이 전년(1,305만명) 대비 20% 상승한 1,569만명을 기록하여, 전체 국적기 수송량 증가율(4%, 5,340만명→5,561만명)을 크게 웃돌았다고 발표했다.
국적 저비용항공사는 2005년 연간 418회 운항 및 2.1만명 이용실적으로 시작하였으나, 2013년 10.7만회 운항 및 1,569만명 이용실적을 기록하여 큰 폭으로 성장하였다.
또한, 시장점유율은 2012년 18.8%에서 2013년 21.4%로 상승하여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선의 경우 전체 21개의 노선 중 저비용항공사가 운항 중인 6개 노선에서 전년(947만명) 대비 13.8% 증가한 1,078만명을 수송하였다.
저비용항공사는 ’13년 국내선 이용자(2,235만명)의 48%를 수송하여 시장점유율* 상승세를 유지했으며, 김포-제주 등 3개 노선**은 ’12년에 이어 ’13년에도 50% 이상을 점유하였다.
* LCC 시장점유율 : ’11년 41.4%→’12년 43.8%→’13년 48%
** LCC 50% 이상 점유노선 : (김포-제주) 59.3%, (김해-제주) 72.7%, (군산-제주) 52.6%
국제선의 경우 취항노선 증가(6만명이상 수송노선 : 23개→27개) 및 해외여행 증가로 인해 전년(359만명) 대비 37% 증가한 491만명을 국적 저비용항공사에서 수송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적 LCC(저비용항공사)는 ’13년 국적기 이용자(3,326만명)의 9.6%를 수송하는 등 시장점유율 상승세를 유지하였으며, 17만명 이상 수송 노선 중 인천-홍콩(8.1%→7.9%)을 제외한 모든 노선에서 점유율이 증가*하였다.
* LCC 시장점유율 : ’11년 4.3%→’12년 7.5%→’13년 9.6%
** (점유율 증가 상위) 김해-후쿠오카(29.5→52.3%), 인천-괌(40.1→55.2%), 인천-세부(9.8→23.7%)
또한, 에어피치(인천-오사카 16.9→33.2만명), 에어아시아재팬(인천-동경 1.3→9.5만명), 세부퍼시픽(인천-칼리보 3.8→11.3만명) 등 외국계 LCC(저비용항공사) 운항실적도 증가하였다
국토교통부는 2014년 국적 저비용항공사 성장 전망에 대해, 외국 LCC 취항 확대*로 인한 경쟁 심화 등의 부정적 요인은 있으나, 국적 LCC들이 항공기 추가도입**, 국제노선 확대***, 국제선 여객 증가추이**** 및 LCC 시장점유율 상승세를 감안할 때 ‘14년에도 저비용항공사 성장세는 지속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 에어아시아 부산-쿠알라룸푸르(5.6만명), 에바 인천-카오슝(3.5만명) 에어피치 부산-오사카(2.7만명) 신설노선 본격운항 및 중국·대만 등으로 확대 예정
** 항공기 추가도입(대) : 제주항공 3, 진에어 2, 에어부산 4, 이스타 5, 티웨이 2
*** 진에어(인천-치앙마이), 에어부산(부산-씨엠립, 부산-까오슝), 티웨이항공(인천-산야, 인천-삿포로, 인천-사가) 신규취항 중
**** 국제선 전체 여객(백만명) '10년 40 →'11년 42.6 → '12년 47.7 → '13년 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