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방 직후, 우리나라 국토의 모습을 담은 항공사진이 처음으로 국민에게 공개된다.
국토지리정보원(원장 임주빈)은 정부가 보유한 1945년부터 52년 사이의 항공사진(5,923매)을 디지털화하여 2.28(금)부터 인터넷으로 서비스(http://air.ngii.go.kr)한다고 밝혔다.
이번 항공사진은 기존에 공개된 자료가 주로 1970년대 이후임을 감안할 때, 그 역사적 가치가 매우 높은 자료로서, 해방 직후 국토의 모습을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방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변화 모습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실례로, 현재 충남 당진의 제철공장 지대는 1946년 당시 바다와 갯벌이었으나, 1980년대 간척사업을 통해 농토를 확장하고, 1990년대 철강 공업단지를 조성하여 오늘날 서해의 철강 및 항만 물류의 전초기지로 비상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포항 최대 재래시장인 죽도시장 부근은 1948년 논과 밭이 대부분 이었으나, 1960년대부터 포항 내항을 중심으로 점차 도시화 되어, 현재 해양 관광도시로 크게 발전한 모습을 볼 수 있다.
더욱이, 평양, 신의주 등 북한 지역을 다수 포함하고 있어, 고향을 잃은 실향민과 새터민에게도 소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이번 항공사진은 장기간(60년 이상) 보관에 따라 변색, 훼손이 진행되던 아날로그 필름을 특수 스캐너 등을 이용하여 디지털로 복원한 것으로,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한국정보화진흥원(원장 장광수), 국토지리정보원이 협업한 「국가DB사업」으로 추진되었으며, 이렇게 디지털화된 항공사진은 교육·언론·문화 등 한국 근현대사(해방, 한국전쟁 등)를 주제로 한 사회 전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은 2017년까지 1945년부터 69년의 항공사진 총 6만 9천매를 전면 디지털화 한다는 계획으로, 우리 국토의 공간정보 공백기를 모두 없애겠다는 방침이다.
디지털화된 항공사진은 인터넷 「국토공간영상정보 서비스 (http://air.ngii.go.kr)」를 통해 국민 누구나 만나볼 수 있으며, 향후 공간정보 오픈플랫폼(브이월드, http://www.vworld.kr)에서도 서비스 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