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중국으로 가는 하늘길 2006년 이후 최대폭으로 확대된다
기관
등록 2014/04/24 (목)
파일 140424(즉시)_한-중국_항공회담_결과(국제항공과).hwp
내용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14.4.23(水)~24(木) 제주에서 개최된 한-중 항공회담에서 양국간 공급력을 현행 45개 노선 주426회에서 62 노선 주516회로 대폭 증대(주90회 증대)하기로 합의하였다고 밝혔다.
* 17개 신규 노선개설을 위한 주51회 설정, 12개 기존 노선 공급력 주39회 증대

이에 따라, 한국 여행객들의 편의 증대는 물론 최근 한국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 특수가 한층 더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항공수요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그간 공급력이 설정되지 못해 항공사들이 부정기편을 통해서만 운항하던 서울/스좌좡(주2회), 서울/난닝(주2회), 서울/인촨(주3회), 서울/옌청(주3회), 서울/자무스(주2회), 청주/옌지(주3회), 청주/하얼빈(주2회), 청주/다롄(주2회), 부산/스좌좡(주3회), 부산/장자지에(주2회), 부산/옌지(주3회), 제주/콴저우(주3회), 제주/구이양(주3회), 제주/난닝(주3회), 제주/시안(3회), 광주/텐진(주7회), 서울/허페이(주5회)는 정기편이 신규로 개설됨에 따라 앞으로 안정적으로 운항할 수 있게 되었다.
* 서울-허페이는 기존 서울-충칭, 허페이 노선을 분리하여 새롭게 개설
  (서울-충칭,허페이 주7회 → 서울-충칭 주7회, 서울-허페이 주5회)

또한, 기존에 운항 중인 노선 중 탑승율이 높았던 서울/베이징(주42회→주45회), 서울/청두(주7회→주8회), 서울/광저우(주14회→주21회), 서울/구이린(주3회→주7회), 부산/항저우(주2회→주5회), 서울/무단장(주3회→주5회), 서울/쿤밍(주3회→주5회), 서울/난창,센젠(주8회→주14회), 부산/센양(주3회→주4회), 서울/우한(주3회→주5회), 서울/옌지(주10회→주14회), 청주/센양(주3회→주7회) 노선은 운항편수가 증대되어 그간의 좌석난이 해소될 수 있을 전망이며, 그 외 양국이 화물 운수권 주8회 증대(현 주36회→주44회)에도 합의함에 따라 양국 간 물적교류도 더욱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간 한-중 간에는 지속적으로 수송객이 증가하였으나, 양국 간 정기노선 공급력은 ’06년 이후 대폭 증대되지 못해 기존노선은 탑승난이 발생하고, 신규노선은 일시적인 부정기편으로만 운항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어 왔다.
* (수송 실적) ’09년 7,079천명, ’10년 9,157천명, ’11년 9,731천명, ’12년 10,790천명, ’13년 12,583천명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토교통부는 그간 한-중 항공회담, 한-중 항공 협력회의 등을 통해 양국간 공급력 증대의 필요성을 중국측에 지속적으로 설명하였고, 이러한 노력의 결과 이번 항공회담에서 획기적인 공급력 증대에 합의 할 수 있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한-중 간 신규 노선과 기존 노선이 대폭 증대됨에 따라 우리 국민들에게 다양하고 더 높은 수준의 항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고, 그간 중국 시장을 대부분 부정기편으로 운항하던 우리나라 저비용항공사들의 안정적인 운항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