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미래 항공통신, 그래픽·동영상 등 다양한 항공정보 제공 !
기관
등록 2014/05/12 (월)
파일 140513(조간) 미래 항공통신, 그래픽과 동영상 등 다양한 항공정보 제공(항행시설과).hwp
내용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한국공항공사와 공동으로 5월13일부터 5월16일까지 서울시 강남구 리베라호텔에서 아·태지역 차세대 항공통신망 구축·전환을 위한 『제1차 ICAO 항공통신서비스 이행조정 그룹 회의(ACSICG/1)*』를 개최한다.
* 항공통신서비스 이행조정 그룹(ACSICG : Aeronautical Communication Services Implementation Coordination Group) : 문자 위주의 항공 데이터를 그래픽, 동영상 등 고품질 대용량 소통체계로 전환하여 항공안전을 더욱 증진시킬 목적으로 ICAO 아·태지역 회원국 간 차세대 항공통신서비스 구축 및 이행전략 등을 논의하고 합의하기 위한 협력체

이번 회의는 아·태지역 20여 개 국 정부 대표, 국제 민간항공 기구(ICAO)* 및 해외전문가 60여 명, 국내 산(産)·학(學)·연(硏)·정부(政府) 항공통신 전문가 140여 명이 참석하여 차세대 항공통신망과 관련된 각 국의 추진현황을 발표하고 협력방안 등을 논의한다.
* ICAO(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협약에 의해 국제민간항공의 안전 및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1947년에 설립된 UN 경제사회이사회 산하 전문기구

우리나라는 글로벌 항공데이터 종합관리망(SWIM)* 등 차세대 항공통신망 구축 및 연구개발 현황을 발표하고, 각 국가의 항공통신서비스 적용정책, 이행계획 결의 등 ICAO를 중심으로 국가 간 협력방안과 절차 마련에 참여한다.
* 글로벌 항공데이터 종합관리망(SWIM: System Wide Information Management): 기존 점대점의 복잡한 통신방식에서 인터넷 이용 수요자가 손쉽게 접근하여 항공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차세대 항공통신서비스

ICAO는 차세대 항공통신망을 미국, 일본 등 아·태지역 주요 국가 간에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우선 구축하고, 이를 점차 다른 나라까지 확대할 예정이며, 우리나라도 2018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기술로 개발·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 할 예정이다.

향후, 대용량 정보 소통이 가능한 차세대 항공통신서비스가 실현될 경우, 조종사나 관제사, 운항관리자 등 항공종사자들은 그래픽, 동영상 등으로 전환된 다양한 항공정보를 손쉽게 실시간 접할 수 있어 항공안전에 더욱 기여할 수 있을 전망이다.

또한, 회의기간 동안 차세대 감시시스템(ADS-B) 등 국내 산(産)·학(學)·연(硏)에서 연구 개발한 국산 항행장비 전시회도 함께 개최하여 우리나라 국산 장비의 우수성을 홍보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 위주로 개발된 국산 항행장비의 해외 진출 확대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교통부는 글로벌 항공데이터 종합관리망(SWIM) 등 차세대 항공통신 업무를 추가하여 새롭게 개편된 이번 회의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개최됨에 따라 항공분야 국제위상이 높아지고 향후 ICAO 이사국 상향 진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