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14.5월 주택 매매거래 동향 및 실거래가 자료를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다.
‘14. 5월 주택매매거래량은 7.8만건으로 전년동월대비 13.7% 감소하였고 전월대비로는 16.1% 감소하였다. 다만, 5년평균대비(‘09~‘13년)로는 4.2% 증가하여 예년수준을 유지하였다.
* 5월 거래량(만건):(‘09)6.9→(‘10)6.0→(‘11)8.5→(’12)6.8→(‘13)9.0→(‘14)7.8
주택거래는 금년 4월까지 전년동월대비 증가세를 유지하였으나, 5월 들어 감소세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 ‘13년 5~6월은 4.1대책의 영향으로 거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한 시기(‘13.5월 : 9.0만건, 6월 : 13.0만건)
'14.5월 월별 주택거래량 그림
< 월별 거래량 추이(전국) > |
< 월별 증감률 추이(전국) > |
|
|
지역별로는 수도권에서 전년동월대비 거래량이 10.2% 감소하여 지방(△16.4%)에 비해서는 감소폭이 작고, 서울은 전년동월대비 10.9% 감소하였고, 강남3구는 34.8% 감소하여 비교적 감소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14.5월 주택매매거래량 (신고일 기준) >
’14.5월 주택매매거래량 (신고일 기준)
구 분 |
’14.5월 |
’14.4월 |
’13.5월 |
증감률(’14.5월, %) |
누계(1~5월) |
전월比 |
전년동월比 |
5년 5월 평균比 |
거래량 |
전년 동기比 |
전 국 |
77,754 |
92,691 |
90,136 |
△16.1% |
△13.7% |
4.2% |
397,483 |
28.0% |
수도권 |
34,853 |
43,002 |
38,813 |
△19.0% |
△10.2% |
16.2% |
183,114 |
47.0% |
서 울 |
10,853 |
13,689 |
12,184 |
△20.7% |
△10.9% |
13.9% |
58,835 |
51.8% |
(강남3구) |
1,386 |
1,870 |
2,127 |
△25.9% |
△34.8% |
△3.2% |
9,221 |
37.1% |
지 방 |
42,901 |
49,689 |
51,323 |
△13.7% |
△16.4% |
△3.8% |
214,369 |
15.2% |
주택 유형별로 아파트 거래량은 전년동월에 비해 19.7% 감소하였으나, 단독·다가구는 1.6% 증가, 연립·다세대 주택은 1.2% 증가하였고, 수도권에서도 비아파트 주택은 거래량이 증가하였으나(단독·다가구 +11.7%, 연립·다세대 +7.1%) 아파트는 감소(△17.5%)한 것으로 나타났다.
< ’14.5월 주택 유형별 거래량 및 증감률(전년동월比) >
’14.5월 주택 유형별 거래량 및 증감률(전년동월比)
구 분 |
전체 |
아파트 |
단독·다가구 |
연립·다세대 |
전 국 |
77,754 |
51,802 |
11,603 |
14,349 |
(△13.7%) |
(△19.7%) |
(1.6%) |
(1.2%) |
수도권 |
34,853 |
22,925 |
2,998 |
8,930 |
(△10.2%) |
(△17.5%) |
(11.7%) |
(7.1%) |
지 방 |
42,901 |
28,877 |
8,605 |
5,419 |
(△16.4%) |
(△21.4%) |
(△1.5%) |
(△7.2%) |
※ ( ) :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거래 금액별로는 수도권은 1~2억(△13.7%), 2~3억(△12.9%), 6억 초과(△22.6%) 주택에서, 지방은 1억 이하(△25.6%), 1~2억(△20.9%)대 주택의 감소폭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 ’14.5월 주택 금액별 거래량 증감률(전년동월대비, %) >
’14.5월 주택 금액별 거래량 증감률(전년동월대비, %)
구 분 |
전체 |
1억 이하 |
1~2억 |
2~3억 |
3~4억 |
4~6억 |
6억 초과 |
전 국 |
△13.7% |
△19.3% |
△18.1% |
△7.9% |
△0.1% |
1.4% |
△14.7% |
수도권 |
△10.2% |
6.6% |
△13.7% |
△12.9% |
△9.1% |
△5.6% |
△22.6% |
지 방 |
△16.4% |
△25.6% |
△20.9% |
△1.7% |
21.4% |
23.0% |
21.2% |
※ : 전체보다 해당 금액대의 감소폭이 큰 경우
전국의 주요 아파트 단지 실거래가격(계약일자 기준)은, 강남권 재건축 단지 및 수도권 일반단지, 지방 주요단지 등 모두 약보합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거래량 및 실거래가에 대한 세부자료는 온나라 부동산정보 포털(www.onnara.go.kr) 또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홈페이지(http://r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