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8월 항공운송시장은 여객 및 화물시장 모두 증가세를 기록하면서 역대 최대실적을 갱신했다.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2014년 8월 항공여객은 805만명으로 전년 동월대비 10.7% 증가했고 항공화물은 32만톤을 수송하여 전년 동월대비 7.1% 증가했다고 밝혔다.
’14년 1~8월까지 누적실적은 항공여객이 5,372만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9.8% 증가('13년 누적 4,892만명)하였고, 항공화물은 242만톤으로 전년 동기대비 5.6% 증가('13년 누적 229만톤)하였다.
국제선 여객은 항공사 여객기 운항편 확대, 중국과 동아시아 방한수요 확대에 따른 직항여객 수송 증가, LCC 여객 수송 증가, 유럽노선 항공수요 확대 등으로 전년 동월대비 11.6% 상승한 572만명으로 역대 월별 최대실적을 기록했다.
* 국제여객 : 360만명(’07. 8) → 328만명(’08. 8) → 338만명(’09. 8) → 389만명(’10. 8) → 423만명(’11. 8) → 472만명(’12. 8) → 513만명(’13. 8) → 572만명(’14. 8)
지역별로는 일본(△3.4%)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증가했으며 특히 중국은 지속적 한중노선 수요 확대에 힘입어 전년 동월대비 23.6% 성장했다.
공항별로는 중국노선 운항이 큰 폭으로 확대된 양양(7,700명→27,592명 258.3%)·청주(33,010명→85,041명, 157.6%)·대구(18,398명→34,815명, 89.2%)공항 실적이 크게 증가하였고 무안(△22.6%)을 제외한 모든 공항이 성장세를 기록했다.
항공사별 여객실적의 경우 국적항공사는 5.6%, 외국계 항공사는 22.3% 증가했으며, 국적사 점유율은 60.7%로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항공사는 49.6%, 저비용항공사는 11.2%를 기록했다.
* LCC 분담률 : 2.8(’10.8) → 4.8(’11.8) → 8.3%(’12.8) → 10.1%(’13.8) → 11.2(’14.8)
국내선 여객은 김포-제주 노선 등 제주노선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8월 전체 국내선 실적은 232만명으로 전년 동월대비 8.6% 증가했다.
* 국내여객 : 163만명(’07. 8) → 164만명(’08. 8) → 189만명(’09. 8) → 191만명(’10. 8) → 201만명(’11. 8) → 191만명(’12. 8) → 214만명(’13. 8) → 232만명(’14. 8)
공항별로는 김포(8.2%), 김해(2.3%), 제주(11.9%), 대구(57.9%) 등 주요공항에서 증가세를 보였다.
항공사별 탑승율은 대한항공 및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항공사가 2.8% , 5개 저비용항공사는 15.0% 증가하였으며 저비용항공사의 시장 점유율은 50.2%를 기록했다.
* LCC 분담률 : 33.9%(’10.8) → 42.7%(’11.8) → 43.8%(’12.8) → 47.4%(’13.8) →50.2%(’14.8)
항공화물의 경우 항공사의 화물기 운항 확대와 수출입 호조에 따른 화물 수요증가로 전년 동월대비 7.1% 성장하여 32만톤을 기록했다.
* 항공화물 : 29만톤(’07. 8) → 28만톤(’08. 8) → 27만톤(’09. 8) → 30만톤(’10. 8) → 30만톤(’11. 8) → 29만톤(’12. 8) → 30만톤(’13. 8) → 32만톤(’14. 8)
국제화물의 경우 항공사의 화물기 운항편 확대 및 선진국 경기회복에 힘입은 수출 및 수입 호조로 전년 동월대비 6.0% 증가(27.5만 톤 → 29.1만 톤)하였으며 국내 화물도 2.6만톤으로 전년 동월대비 21.2% 증가했다.
국토교통부는 중국의 직항노선 확대, 주변 국가와의 경쟁 심화, 환율 변동성 확대 등 불확실성 변수로 인한 잠재적 리스크도 상존하나 국제·국내선 운항 증가, 중국과 아시아 지역의 방한수요 확대 등으로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