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14년 국내 신차 실내 공기질 조사결과 발표
기관
등록 2014/11/19 (수)
파일 141120(조간) 14년 국내 신차 실내공기질 조사결과 발표(자동차정책과).hwp
내용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13년 7월부터 ’14년 6월까지 국내에서 현대 및 기아자동차가 신규로 제작ㆍ판매한 3개 차종에 대하여실내공기 질을 조사한 결과, 모든 차종이 관리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현대자동차의 쏘나타 및 제네시스와 기아자동차의 쏘울을 대상으로 폼 알데하이드, 톨루엔 등 6개 물질이 실내공기 질 권고기준을 만족시키는지에 대해 측정하였다.
 

<‘14년 국내 신차 실내공기준 조사 결과>

단위: 세제곱미터 당 마이크로그램(㎍/㎥)

14년 국내 신차 실내공기준 조사 결과_단위:세제곱미터 당 마이크로그램(㎍/㎥)
제작사 차 명 측정 물질
폼 알데 하이드(250) 톨루엔 (1,000) 에틸벤젠 (1,600) 스티렌 (300) 벤 젠 (30) 자일렌 (870)
기아 쏘울(신형) 26.2 342.9 34.4 20.7 3.9 91.3
현대 쏘나타(신형) 17.1 435.7 54.4 2.9 2.9 116.7
현대 제네시스(신형) 5.0 269.0 32.4 9.2 3.6 119.5


측정결과 위 3개 차종의 관리대상 유해물질이 모두 권고기준치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차 실내공기 질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게 된 것은 신차 승차시 두통·현기증 및 냄새 등의 문제를 인식하는 등 이동 생활공간인 자동차 안에서의 공기 질에 대한 관심도 매우 커짐에 따라, '07년도에 신차 실내공기 질 기준을 마련하고 ‘10년에 시범실시를 거쳐 '11년도부터 본격적으로 실내공기 질 조사를 실시하였다.
* '04년 신규 주택에서 두통, 현기증 및 냄새 등의 새집증후군 문제 대두

신차 실내공기질 측정대상이 되는 6개 유해물질은 신차의 실내에서 검출된 유해물질을 토대로 선정하였으며, 실내공기 질 조사 첫해인 '11년에는 자동차제작사의 기술수준을 고려하여 4개 유해물질(포름알데히드, 톨루엔, 에틸벤젠, 스티렌)을 측정하였고, ‘12년부터는 6개 유해물질에 대해 측정해오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신차의 실내공기 질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내년부터 실내공기 질 관리기준을 강화(폼알데하이드, 에틸벤젠, 스티렌*)하고 측정대상 물질을 7개로 확대(아크롤레인 추가)할 계획이다.
* 폼알데하이드(250 → 210세제곱미터 당 마이크로그램), 에틸벤젠(1,600 → 1,000세제곱미터 당 마이크로그램), 스티렌(300 → 220세제곱미터 당 마이크로그램: '13.9.24 개정완료)

또한 신차 실내공기질에 대한 국제기준이 미비한 점을 고려하여 국제적인 기준이 마련될 수 있도록 유엔유럽경제위원회(UNECE)에 공식 제안하는 등 국제기준 마련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신규제작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은 자동차 실내 내장재에 사용되는 소재 및 접착제 등에서 발생하는 물질로, 제작 후 3~4개월이 지나면 대부분 자연 감소하므로 신차 구입 후 초기에는 가급적 환기를 자주해줄 것을 당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