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2014년 10월 항공여객 올해 월별 최고 증가율!
기관
등록 2014/11/24 (월)
파일 141125(조간) 14년 10월 항공운송시장 동향 발표(항공정책과).hwp
내용

2014년 10월 항공운송시장은 여객 및 화물시장 모두 증가세를 기록하여 역대 10월 최대실적을 갱신하였고, 특히 항공여객은 올 들어 전년 대비 월별 최고 증가율(16.0%)을 기록하였다.
* 전년 동월대비 월별 증가율 : 9.2%(1월), 8.5%(2월), 6.6%(3월), 12.5%(4월), 9.0%(5월), 10.3%(6월), 11.1%(7월), 10.7%(8월), 10.2%(9월), 16.0%(10월)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2014년 10월 항공여객은 전년 동월대비 16.0% 증가했고 항공화물은 전년 동월대비 5.4% 증가했다고 밝혔다.

국제선 여객은 동아시아 방한수요 확대, 중국 국경절(건국 기념일) 및 개천절, 한글날 연휴 등으로 내·외국인 해외 관광수요가 대폭 증대되면서 전년 동월대비 16.2% 상승하여 역대 10월 최대실적을 기록했다.
* 국제여객 : 316만명(’07.10)→291만명(’08.10)→277만명(’09.10)→360만명(’10.10)→383만명(’11.10)→409만명(’12.10)→434만명(’13.10)→505만명(’14.10)

지역별로는 전 지역에서 증가세를 보였으며 특히 중국은 국경절 연휴 등 여객수송 특수에 힘입어 전년 동월대비 32.4% 성장했다.

공항별로는 중국노선 운항 확대와 무비자 입국제도 확대시행 등의 영향으로 양양(1,697→8,677명, 411.3%), 청주(14,959→38,080명, 154.6%)공항 실적이 크게 증가하고, 제주공항도 70.7%(126,780→216,423명) 증가하는 등 모든 공항이 국제선에서 성장세를 기록했다.

항공사별 여객실적의 경우 국적항공사는 9.3%, 외국계 항공사는 28.8% 증가했으며 국적사 점유율은 60.6%로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항공사는 50.1%, 저비용항공사는 10.6%를 기록했다.
* LCC 분담률 : 2.5%(’10.10)→4.7%(’11.10)→7.8%(’12.10)→8.6%(’13.10)→10.6%(’14.10)

국내선 여객은 제주노선 수요가 크게 증가(19.6%)하면서 10월 전체 국내선 실적은 전년 동월대비 15.6% 증가했다.
* 국내여객 : 145만명(’07.10)→152만명(’08.10)→166만명(’09.10)→192만명(’10.10)→203만명(’11.10)→202만명(’12.10)→208만명(’13.10)→241만명(’14.10)

공항별로는 대구와 광주 공항 실적이 크게 증가하고 김포, 김해, 제주 공항 등 주요공항의 실적도 증가세를 보였다.

항공사별로는 대형항공사 실적이 7.8% 증가하고 저비용항공사 실적은 23.9% 증가했으며 저비용항공사의 점유율이 52.0%를 나타냈다.
* LCC 분담률 : 35.2%(’10.10)→42.2%(’11.10)→43.7%(’12.10)→48.5%(’13.10)→52.0%(’14.10)

항공화물의 경우 항공사의 화물기 운항 확대와 수출입 호조에 따른 화물 수요증가로 전년 동월대비 5.4% 성장하여 33만톤을 기록했다.
* 항공화물 : 31만톤(’07.10)→28만톤(’08.10)→29만톤(’09.10)→32만톤(’10.10)→31만톤(’11.10)→30만톤(’12.10)→31만톤(’13.10)→33만톤(’14.10)

국제화물의 경우 수출 및 수입 호조세 지속으로 전년 동월대비 4.6% 증가(28.7만 톤 → 30.1만 톤)했으며 국내 화물도 2.6만톤으로 전년 동월대비 15.5% 증가했다.

국토교통부는 세계 경기의 영향, 주변 국가와의 경쟁 심화, 환율 변동성 확대 등 불확실성 변수로 인한 잠재적 리스크도 상존하나 국제·국내선 운항 증가, 중국과 아시아 지역의 방한수요 확대 등으로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