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장관 유일호)는 올해 상반기 전국 땅값이 1.07% 상승하여 (전년 동기 대비 0.14%p 상승), ‘10.11월 이후, 56개월 연속 소폭의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 상반기 변동률 추이 : (’12.상)0.62%→(’13.상)0.57%→(’14.상)0.93%→(’15.상)1.07%
< '08년 이후 지가변동률 추이(%) >
구분
|
'12상
|
'12하
|
'13상
|
'13하
|
‘14상
|
'14하
|
‘15상
|
지변율
|
전국
|
0.62
|
0.33
|
0.57
|
0.56
|
0.93
|
1.02
|
1.07
|
수도권
|
0.54
|
0.14
|
0.51
|
0.53
|
0.93
|
0.97
|
1.01
|
지방
|
0.79
|
0.68
|
0.70
|
0.60
|
0.93
|
1.13
|
1.18
|
소비자
물가지수
|
0.84
|
0.58
|
0.58
|
0.56
|
1.09
|
△0.26
|
0.94
|
(1) 지역별 지가변동률
올해 상반기동안 전국 17개 시ㆍ도 땅값이 모두 상승한 가운데, 수도권은 1.01%, 지방은 1.18% 상승하였다.
(수도권) 서울(1.26%)은 ‘13.9월부터 22개월 연속 소폭 상승중이나, 경기(0.77%), 인천(0.90%) 지역은 전국 평균을 하회하였다.
(지방) 대구시가 1.80% 상승하여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이는 가운데, 제주(1.69%), 세종(1.50%), 부산(1.46%) 등 11개 시도가 전국 평균을 상회하였다.
시군구별로 지가변동이 큰 상하위 지역을 자세히 살펴보면, 전남 나주시(3.20%)가 혁신도시 및 나주역 인근지역의 상업 및 주거용 부동산 매수수요 증가로 가장 크게 상승했다.
대부분 시군구에서 보합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충남 태안군(△0.03%)은 국제관광지조성 사업 중단과 기업도시 개발 지체의 영향으로 가장 낮은 상승률을 기록하였다.
< 상위 5개 지역 >
순위
|
지역
|
변동률
|
주요사유(추정)
|
주요 읍면동
|
1
|
전남
나주
|
3.20
|
혁신도시 및 나주역 인근 상업 및 주거용 부동산 매수수요 증가
|
빛가람동(13.72%), 토계동,송월동(2.58%), 삼도동(2.28%)
|
2
|
전남
구례
|
3.01
|
전원주택 개발 및 농지수요 증가에 따른 수급불균형
|
광의면(4.67%), 산동면(3.65%), 마산면(3.40%)
|
3
|
전남장성
|
2.06
|
나노산단(70%), 광주연구개발특구등 개발호재와 전원주택 수요
|
진원면(6.03%), 남면(4.13%), 장성읍(1.85%)
|
4
|
대구
달성
|
2.06
|
테크노폴리스 등 각종 개발호재와 공장용지 및 농지 가격 상승
|
하빈면(3.11%), 옥포면(2.78%), 유가면(2.34%)
|
5
|
대구
동구
|
2.01
|
혁신도시 및 동대구복합환승센터 등 개발사업
|
신기동,율하동(3.31%), 각산동,신서동(3.29%), 방촌동(2.38%)
|
< 하위 5개 지역 >
순위
|
지역
|
변동률
|
주요사유(추정)
|
주요 읍면동
|
1
|
충남
태안
|
△0.03
|
국제관광지조성 사업 중단과 기업도시 개발 지체
|
안면읍(△0.28%), 근흥면(△0.23%), 원북면(△0.03%)
|
2
|
충남
청양
|
0.14
|
농지수요 감소와 저가매물 증가
|
화성면(△0.28%), 목면(△0.16%), 남양면(△0.08%)
|
3
|
인천
동구
|
0.17
|
낙후된 주거지의 재개발사업 부재, 공장용지 수요 감소
|
창영동,금곡동(△0.17%), 송림동(0.00%),
화수동,화평동(0.03%)
|
4
|
인천
옹진
|
0.24
|
도서지역의 외지인 투자수요 및 거래 감소
|
백령면(△0.84%), 연평면(△0.76%), 자월면(△0.33%)
|
5
|
경기
가평
|
0.27
|
개발사업의 부재, 접근이 불리한 북면 등 산간지역의 하락
|
북면(0.02%), 설악면(0.15%), 하면(0.28%)
|
(2) 용도지역·이용상황별 지가변동률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1.26%), 공업지역(0.97%), 계획관리지역(0.94%) 순으로 상승하였으며, 이용상황별로는 기타*(1.45%), 주거용(1.21%), 상업용(1.06%) 순으로 상승하였다.
* 기타: 유원지, 여객자동차터미널, 골프장, 스키장, 염전, 광업용지 등
구 분
|
도시지역
|
비도시지역
|
주거
|
상업
|
공업
|
녹지
|
보전관리
|
생산관리
|
계획관리
|
농림
|
자연환경
|
’13년 상반기
|
0.58
|
0.59
|
0.56
|
0.52
|
0.27
|
0.42
|
0.89
|
0.26
|
0.34
|
’13년 하반기
|
0.62
|
0.58
|
0.58
|
0.42
|
0.05
|
0.28
|
0.70
|
0.16
|
0.26
|
’14년 상반기
|
1.14
|
0.69
|
0.99
|
0.65
|
0.40
|
0.61
|
0.99
|
0.20
|
0.30
|
’14년 하반기
|
1.25
|
0.80
|
0.88
|
0.73
|
0.45
|
0.68
|
1.07
|
0.40
|
0.44
|
’15년 상반기
|
1.26
|
0.90
|
0.97
|
0.86
|
0.49
|
0.73
|
0.94
|
0.58
|
0.64
|
(3) 토지거래량
한편, 올해 상반기의 전체 토지거래량은 총 153만 필지(1,083㎢)로 전년 동기 대비 21.6% 증가하여, ‘06년 이후 가장 많은 거래량을 기록하였다.
이중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총 55만 필지(1,000㎢)로 전년 동기 대비 10.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세종(122.5%), 서울(47.0%), 경기(32.4%), 부산(30.5%) 순으로 증가폭이 큰 반면, 대전(△6.6%)은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가변동률과 토지거래량에 대한 상세 자료는 ‘R-ONE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www.r-one.co.kr, 부동산가격정보 앱) 또는 ‘국토교통 통계누리’(sta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