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장관 유일호)는 ’15년 상반기 건축 인허가 면적은 전년 동기 보다 26.0% 증가한 80,225천㎡, 동수는 8.1% 증가한 126,294동으로 조사되었다고 밝혔다.
’09~‘14년 상반기 평균 대비 건축 인허가 면적은 26.6%(21,333천㎡), 동수는 10.4%(13,085동) 증가하였다.
지역별 허가면적은 수도권 39,260천㎡(14,017천㎡, 55.5%↑), 지방 40,964천㎡(2,541천㎡, 6.6%↑)로 나타났다.
《 반기별 건축 인허가 추이 》
(단위 : 동, 천㎡)
구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상반기
|
하반기
|
상반기
|
하반기
|
상반기
|
하반기
|
상반기
|
하반기
|
상반기
|
동수
|
118,183
|
119,623
|
122,374
|
109,578
|
110,346
|
116,102
|
116,814
|
119,792
|
126,294
|
연면적
|
63,496
|
74,517
|
67,137
|
76,533
|
57,025
|
69,998
|
63,666
|
74,383
|
80,225
|
착공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37.1% 증가한 71,107천㎡, 동수는 11.7% 증가한 109,072동으로 조사되었으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33,152천㎡(14,543천㎡, 78.2%↑), 지방 37,955천㎡(4,702천㎡, 14.1%↑)로 나타났다.
《 반기별 건축물 착공 추이 》
(단위 : 동, 천㎡)
구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상반기
|
하반기
|
상반기
|
하반기
|
상반기
|
하반기
|
상반기
|
하반기
|
상반기
|
동수
|
99,323
|
98,491
|
101,988
|
89,669
|
92,102
|
96,947
|
97,637
|
101,458
|
109,072
|
연면적
|
47,585
|
52,399
|
52,457
|
49,920
|
49,698
|
52,441
|
51,861
|
59,300
|
71,107
|
또한, 준공면적은 13.5% 감소한 52,270천㎡, 동수는 0.1% 증가한 88,016동으로 조사되었으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20,389천㎡(△4,970천㎡, 19.6%↓), 지방 31,881천㎡(△3,202천㎡ , 9.1%↓)로 나타났다.
《 반기별 건축물 준공 추이 》
(단위 : 동, 천㎡)
구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상반기
|
하반기
|
상반기
|
하반기
|
상반기
|
하반기
|
상반기
|
하반기
|
상반기
|
동수
|
77,954
|
108,232
|
85,376
|
105,007
|
82,260
|
104,736
|
87,931
|
111,026
|
88,016
|
연면적
|
46,983
|
62,204
|
51,470
|
60,459
|
59,783
|
53,791
|
60,443
|
70,637
|
52,270
|
전년 동기 대비 건축물 용도별 허가, 착공 및 준공 면적은 건축 허가면적은 주거용 33,116천㎡, 상업용 23,768천㎡, 문교사회용은 5,252천㎡로서 각각 29.3%, 37.7%, 37.6% 증가하였으며, 공업용은 7,941천㎡로서 0.2% 감소하였다.
착공면적은 주거용 30,755천㎡, 상업용 20,244천㎡, 공업용 7,647천㎡, 문교사회용은 4,114천㎡로서 각각 48.0%, 50.0%, 6.1%, 44.7% 증가하였다.
준공면적은 상업용 14,199천㎡로서 10.1% 증가한 반면, 주거용 19,811천㎡, 공업용 7,106천㎡, 문교사회용은 3,954천㎡로서 각각 9.0%, 37.2%, 38.0% 감소하였다.
《 전년 동기 대비 용도별 건축물 인허가 현황 》
(단위 : 동, 천㎡)
구분
|
합계
|
주거용
|
상업용
|
공업용
|
문교사회용
|
기타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허
가
|
전국
|
126,294
(8.1)
|
80,225
(26.0)
|
59,582
(18.7)
|
33,116
(29.3)
|
35,215
(5.8)
|
23,768
(37.7)
|
10,353
(2.0)
|
7,941
(-0.2)
|
4,914
(1.9)
|
5,252
(37.6)
|
16,230
(-11.6)
|
10,145
(12.6)
|
수도권
|
39,778
(19.1)
|
39,260
(55.5)
|
18,293
(31.9)
|
16,292
(68.6)
|
11,849
(9.4)
|
12,043
(54.4)
|
3,828
(10.5)
|
3,424
(14.1)
|
1,577
(-5.8)
|
2,433
(56.6)
|
4,231
(18.2)
|
5,066
(57.1)
|
지방
|
86,516
(3.7)
|
40,964
(6.6)
|
41,289
(13.6)
|
16,823
(5.4)
|
23,366
(4.0)
|
11,725
(23.9)
|
6,525
(-2.4)
|
4,517
(-8.8)
|
3,337
(5.9)
|
2,818
(24.6)
|
11,999
(-18.8)
|
5,079
(-12.2)
|
착
공
|
전국
|
109,072
(11.7)
|
71,107
(37.1)
|
54,639
(19.5)
|
30,755
(48.0)
|
26,564
(11.4)
|
20,244
(50)
|
9,923
(6.3)
|
7,647
(6.1)
|
3,312
(7.8)
|
4,114
(44.7)
|
14,634
(-6.5)
|
8,345
(10.8)
|
수도권
|
33,407
(26.3)
|
33,152
(78.2)
|
16,732
(35.3)
|
14,171
(113.6)
|
8,398
(18.7)
|
10,214
(85.6)
|
3,646
(11.8)
|
3,211
(11.3)
|
881
(2.9)
|
1,761
(57.8)
|
3,750
(29.5)
|
3,793
(53.8)
|
지방
|
75,665
(6.3)
|
37,955
(14.1)
|
37,907
(13.6)
|
16,583
(17.2)
|
18,166
(8.4)
|
10,029
(25.5)
|
6,277
(3.4)
|
4,436
(2.7)
|
2,431
(9.8)
|
2,353
(36.2)
|
10,884
(-14.7)
|
4,552
(-10.2)
|
준
공
|
전국
|
88,016
(0.1)
|
52,270
(-13.5)
|
35,924
(5.6)
|
19,811
(-9.0)
|
24,544
(2.3)
|
14,199
(10.1)
|
9,447
(-12.2)
|
7,106
(-37.2)
|
4,474
(-11.5)
|
3,954
(-38.0)
|
13,627
(-3.3)
|
7,198
(-10.8)
|
수도권
|
24,913
(-2.7)
|
20,389
(-19.6)
|
10,324
(6.8)
|
6,925
(-12.5)
|
7,583
(-0.1)
|
6,618
(15.1)
|
3,319
(-10.9)
|
2,999
(-44.4)
|
1,189
(-34.4)
|
1,525
(-55.2)
|
2,498
(-11.0)
|
2,319
(-19.7)
|
지방
|
63,103
(1.2)
|
31,881
(-9.1)
|
25,600
(5.1)
|
12,885
(-7.0)
|
16,961
(3.3)
|
7,580
(6.0)
|
6,128
(-12.9)
|
4,107
(-30.7)
|
3,285
(1.2)
|
2,428
(-18.1)
|
11,129
(-1.4)
|
4,879
(-5.8)
|
* 괄호 :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용도별 건축물 분류(통계용)] - 주거용 :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다중주택, 연립, 다세대, 아파트 등
- 상업용 :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운수시설 등
- 공업용 : 공장
- 문교사회용 : 의료시설, 문화시설(극장 등)
- 기타 : 농수산용(축사, 온실), 공공용(공공청사, 방송국) 등
2015년 상반기 주요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전년 동기 대비 주거용 건축물의 허가(29.3%), 착공(48.0%) 면적은 증가한 반면 준공(△9.0%) 면적은 감소하였다.
특히, 수도권의 건축 허가(68.6%) 면적 증가폭이 컸으며, 연립주택(505.3%), 아파트(83.2%), 다중주택(69.1%) 순으로 증가율이 높았다.
《 전년 동기 대비 주거용 건축물 인허가 현황 》
(단위 : 동, 천㎡)
구분
|
합계
|
단독주택
|
다가구주택
|
아파트
|
연립주택
|
다세대주택
|
기타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허가
|
59,582
(18.7)
|
33,116
(29.3)
|
37,392
(17.8)
|
3,628
(16.6)
|
12,377
(9.7)
|
3,753
(9.8)
|
3,098
(29.5)
|
21,461
(32.3)
|
555
(146.7)
|
880
(171.1)
|
5,398
(38.2)
|
2,996
(40.6)
|
762
(20)
|
396
(-1.4)
|
착공
|
54,639
(19.5)
|
30,755
(48)
|
33,142
(16.9)
|
3,207
(17.8)
|
12,147
(13.6)
|
3,862
(12.6)
|
2,922
(58.4)
|
19,732
(69.1)
|
522
(108)
|
816
(104)
|
5,227
(29.6)
|
2,933
(33.4)
|
679
(22.8)
|
203
(-44.2)
|
준공
|
35,924
(5.6)
|
19,811
(-9)
|
20,241
(7.6)
|
2,042
(2.2)
|
8,834
(3.7)
|
2,813
(-1.9)
|
1,873
(-11.8)
|
11,809
(-16.8)
|
397
(33.2)
|
619
(56.2)
|
4,008
(6.7)
|
2,276
(10.5)
|
571
(9.4)
|
249
(-4.6)
|
* 괄호 :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둘째, 전년 동기 대비 상업용 건축물의 허가(37.7%), 착공(50.0%) 및 준공(10.1%) 면적이 모두 증가하였다.
세부 용도별로 살펴보면 건축 허가는 판매시설(62.8%), 착공은 업무시설(79.7%), 준공은 판매시설(43.1%)의 증가율이 높았다.
《 전년 동기 대비 상업용 건축물 인허가 현황 》
(단위 : 동, 천㎡)
구분
|
합계
|
제1종
근린생활시설
|
제2종
근린생활시설
|
판매시설
|
업무시설
|
기타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허가
|
35,215
(5.8)
|
23,768
(37.7)
|
12,619
(10.0)
|
5,053
(28.5)
|
17,858
(2.8)
|
6,077
(18.7)
|
615
(-1.8)
|
2,636
(46.2)
|
1,079
(27.1)
|
4,452
(67.5)
|
3,044
(2.8)
|
5,548
(47.9)
|
착공
|
26,564
(11.4)
|
20,244
(50.0)
|
9,590
(15.8)
|
4,266
(36.6)
|
13,687
(7.3)
|
5,280
(32.4)
|
225
(-3.0)
|
1,992
(65.1)
|
710
(56.4)
|
4,123
(79.7)
|
2,352
(11.5)
|
4,582
(59.1)
|
준공
|
24,544
(2.3)
|
14,199
(10.1)
|
8,046
(4.7)
|
3,177
(3.6)
|
13,132
(2.7)
|
4,324
(5.0)
|
452
(-1.7)
|
1,576
(43.1)
|
631
(-2.6)
|
2,493
(-7.9)
|
2,283
(-5.7)
|
2,625
(37.9)
|
* 괄호 :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상업용 건축물 분류(통계용)】
- 제1종근린생활시설 : 소매점, 휴게음식점, 이용원, 의원 등
- 제2종근린생활시설 : 공연장, 금융업소, 제조업소, 고시원 등
- 판매시설 : 도매시장, 소매시장, 상점 등
- 업무시설 : 공공업무시설, 일반업무시설(사무소, 오피스텔 등)
- 기타 : 위락시설, 숙박시설, 운수시설,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 자동차관련시설 등
셋째, 전년 동기 대비 30층 이상 고층 건축물은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허가, 착공, 준공 면적이 모두 증가하였다.
《 전년동기 대비 고층 건축물 인허가 현황 》
(단위 : 동, 천㎡)
구분
|
허가
|
착공
|
준공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전국
|
185
|
3,893
|
139
|
2,971
|
182
|
3,805
|
수도권
|
145
|
2,971
|
86
|
1,835
|
149
|
3,176
|
지방
|
40
|
921
|
53
|
1,135
|
33
|
629
|
주요 건축물의 층수별 허가사항을 보면 수도권은 수원시 광교택지개발지구 내 중흥S클래스(49층), 용인시 기흥구 센트럴푸르지오(49층), 안산시 단원구 메트로타운푸르지오힐스테이트(47층) 등이며 지방은 천안시 중흥시티프라디움(49층), 거제시 경동리인타워(37층), 밀양시 삼문동 신축아파트(35층) 등으로 나타났다.
규모별 변동 현황 및 멸실 현황을 보면 규모별 건축 허가는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전체의 45.6%인 57,546동, 100~200㎡ 건축물이 22,829동(18.1%), 300~500㎡ 건축물이 17,285동(13.7%)이고 착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49,006동으로 전체의 44.9%, 100~200㎡ 건축물이 18,657동(17.1%), 300~500㎡ 건축물이 15,930동(14.6%)이며, 준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34,915동으로 전체의 39.7%, 100~200㎡ 건축물이 16,184동(18.4%), 300~500㎡ 건축물이 13,934동(15.8%)이다.
소유주체별 건축 허가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53.3%인 42,731천㎡, 개인 23,603천㎡(29.4%), 국·공유 4,567천㎡(5.7%)이고, 착공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56.4%인 40,097천㎡, 개인 20,553천㎡(28.9%), 국·공유 3,831(5.4%)이며, 준공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48.1%인 25,161천㎡, 개인 16,600천㎡(31.8%), 국·공유 4,706천㎡(9.0%)이다.
용도별 건축물 멸실은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문교사회용이 각각 2,922천㎡(23,948동), 1,560천㎡(5,389동), 551천㎡(771동), 219천㎡(342동) 멸실되었다.
주거용은 단독주택이 전체의 61.9%인 1,810천㎡(20,867동), 다가구주택 486천㎡(2,226동), 아파트 335천㎡(155동)이며, 상업용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전체의 41.9%인 653천㎡(2,561동), 제1종근린생활시설이 570천㎡(2,183동), 업무시설 83천㎡(45동)으로 나타났다.
※ 통계자료에 대한 세부자료는 건축행정시스템(http://www.eais.go.kr) 및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http://www.molit.go.kr)를 통해 조회할 수 있으며, 통계자료의 작성기준은 2015.06.30일 백업자료입니다.
<참고자료> '15년 상반기 건축허가, 착공, 준공 통계(별첨)
※ 상기에 제시된 허가, 착공 및 준공 통계는 인허가 취소 등의 반영 여부에 따라 기존 보도 자료와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