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무원들의 ‘일하는 방식’을 확 뜯어 고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 마련에 본격 착수했다. 안전행정부(장관 정종섭)는 8월 27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정부3.0 클라우드 종합계획 수립사업’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전자정부 민·관 협력포럼 안문석 의장 등 민간 전문가와 각 부처 및 지자체의 정보화담당관 등을 포함한 약 200여 명이 참석했다.현재 중앙부처 공무원들은 업무자료를 사무실 내 개인PC에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업무관련 지식·정보들을 폭넓게 활용하기 어렵고, 부처 간은 물론 부처 내에서도 제한적으로만 공유되는 실정이다.
또한 사무실의 PC가 유일한 접속 수단으로, 사무실을 벗어나면 담당자조차 자료에 접근할 수 없다. 이러한 제약을 없애기 위해 정부는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기기로 접속해 정보를 공유하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클라우드 업무환경’을 도입하고, 이에 맞춰 전자정부시스템도 전면 개편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날 발표된 클라우드 계획에 따르면 향후 중앙부처 공무원들의 업무환경은 획기적으로 변할 전망이다. 종전에 개인 PC에 담겨있던 자료가「범정부 클라우드시스템(가칭)」을 통해 관리되고, 다른 부서, 다른 부처의 지식과 정보들을 마치 도서관에서 책이나 논문을 검색하듯이 손쉽게 찾아 활용할 수 있는 ‘범정부 지식행정 생태계’가 구현된다.
PC 외에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을 활용해 사무실이 아닌 현장에서도 사무실과 동일한 환경에서 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국민에게 다가가는 행정을 실현할 수 있게 되며, 출장 중에도 언제 어디서나 업무를 볼 수 있게 된다. 클라우드는 한정된 HW, SW 등 정보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공유의 경제(sharing economy)’ 기능도 한다.
종전에는 정보자원을 개인·기관별로 획일적인 할당을 했지만 클라우드로 범정부 정보자원 풀(pool)을 구축하면 실제 수요에 따른 신축적이고 유연한 자원의 재배치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표준화된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한 민간부문의 전자정부 SW 서비스 개발을 촉진해, 정부 중심의 제한적 경쟁이 이뤄지던 기존 전자정부 조달시장을 양적·질적으로 발전시켜 궁극적으로 민·관 협업(collaboration)의 IT생태계 조성에 이바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사무실 PC 중심의 보안체계 및 기술도 클라우드 환경에 적합하게 개편해 정보유출 등 보안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최근 윈도XP 교체 사례에서 보듯이 지나친 특정 기술 종속에 따른 문제도 완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담은 클라우드 종합계획은 올해 8월말부터 내년 2월까지 수립되며, 올해 11월부터는 클라우드 자료저장소 등 핵심기능을 일부 부처(안행부·여성부)에 시범 도입해 2017년 무렵까지 단계적으로 구현할 방침이다.
이날 행사에서 안전행정부는 개인 스마트폰과 사무실 행정전화의 기능을 연계해 이른바 ‘들고 다니는 행정전화’를 구현하는「유무선융합전화서비스(FMX)」도 함께 소개했다. 이를 통해 사무실이 아닌 곳에서도 개인스마트폰을 통해 행정전화를 송수신하고 모바일행정에 활용함으로써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업무처리와 대국민서비스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종섭 안전행정부 장관은 “클라우드를 통해 정부의 일하는 방식을 변화시키고, 부처 간 칸막이를 허물어 범정부적인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면서, “클라우드는 또한 정부3.0 실현의 핵심 기반으로서, 본 사업을 통해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초석을 다지고, 민·관 협업을 촉진하는 IT생태계의 발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전자정부 전략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담당 : 전자정부정책과 손성주 (02-2100-2924) / 정보기반보호과 김준탁 (02-2100-39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