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수립, 6.25전쟁 등 현대사의 주요 고비마다 직·간접으로 영향을 준 국제연합(유엔·UN)과 우리나라가 70년 역사를 함께 하며 상호 불가분의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 세계평화를 선도하는 가장 중요한 회원국 중에 하나로 자리매김해 가고 있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유엔 창설 70주년과 ‘국제연합일*’을 맞아, 1950~90년대 유엔 관련 기록물을 23일(금)부터 누리집(홈페이지, www.archives.go.kr)을 통해 제공한다.
이번에 제공되는 기록물은 총 28건(동영상 6, 사진 20, 문서 2)으로, 유엔의 원조, 남북한 유엔 동시가입, 유엔 평화유지 활동, 기념행사 등 지난 70년 간 우리나라와 유엔의 협력 과정이 담겨 있다.
1947년 9월 미국이 유엔총회에 한국의 독립 문제를 안건으로 제출하면서 우리나라와 유엔의 인연은 시작되었다.
이후, 유엔은 한국정부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1948년 유엔결의에 따라 ‘유엔한국임시위원단(UNTCOK)’이 설립되어 남북한 총선거를 준비하였다.
그러나 소련의 거부로 유엔의 감독 하에 남한만의 총선거가 1948년 5월 10일 실시되었고, 같은 해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그리고 1948년 12월 12일 파리에서 개최된 유엔 총회에서는 압도적 다수(찬성48, 반대6, 기권1)로 ‘총회결의 제195(Ⅲ)호’를 채택하여 대한민국 정부가 한반도 내 유일한 합법정부임을 선언하였다.
1950년 6월 한반도는 전쟁의 화마(火魔)에 휩싸였지만, 유엔의 신속한 대응과 원조는 대한민국의 재도약을 위한 자양분(滋養分)이 되었다.
6.25전쟁이 발발하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군의 철수를 촉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하고, 회원국에게 군대 파견 및 식량제공 등을 신속하게 요청하였다. 그리고 ‘유엔한국통일부흥위원단(UNCURK)’, ‘유엔한국재건단(UNKRA)’을 설치하여 구호물자 제공, 주택·의료·교육시설 건립 등 전후복구와 경제재건에 박차를 가하였다.
한편, 우리나라는 유엔의 정식회원국이 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결국 1991년에 유엔의 161번째 회원국이 되었다.
1949년 1월 한국은 유엔가입을 신청하였으나 소련의 거부권 행사로 부결되었고, 이후에도 소련의 반대로 유엔가입은 번번이 좌절되었다.
하지만, 1989년 이후 소련 및 동구권 공산국가들과 수교가 이뤄지면서 우리나라의 유엔가입 지지 분위기가 확산되었다. 그 결과, 1991년 남한과 북한은 유엔가입 신청을 하였고, 같은 해 9월 17일 제46차 유엔총회에서 남·북한의 유엔 동시가입이 승인되었다.
1980년대 중반 이후부터 우리나라는 유엔의 각종 기구를 통해 원조를 제공하는 한편, 평화유지군을 파견하기도 했다.
1986년에는 유엔개발계획(UNDP), 유엔공업개발기구(UNIDO) 등과 협력기금을 설치하여 개발도상국에 재정지원을 하였고, 유엔아동기금(UNICEF)에는 여러 해 동안 집행이사국으로 활동하며 수백만 달러의 기여금을 제공하였다.
이 외에도 유엔 본부와 다수의 유엔 산하기구에 참여하여 재정적인 지원을 제공하였고, 소말리아, 동티모르, 레바논 등지에 평화유지군을 파견하였다. 특히, 2007년에는 세계의 대통령이라 불리우는 유엔 사무총장을 배출하여 한국의 위상을 드높이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유엔 창설 70주년과 국제연합일을 맞아우리나라와 유엔의 관계를 보여주는 기록을 통해, 우리나라의 재건과 복구에 큰 역할을 했던 유엔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담당 : 국가기록원 콘텐츠기획과 신경훈 (042-481-63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