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총독부 시절의 지적원도가 대량으로 디지털 복원된다. 이에 따라 토지대장 분실 등 사유로 토지 소유권을 주장하기 어려웠던 지역의 소유권 증빙이 보다 명확해질 전망이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원장 이상진)은 정부 3.0 일환으로 토지소유권 증빙자료인 조선총독부 지적원도 약 50여만 매를 고화질 컬러이미지로 디지털화해 오는 2017년부터 온라인으로 열람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올해부터 2018년까지 3개년 사업으로 추진되는 이번 디지털화는 조선총독부가 1912~1918년 작성한 지적원도 50여만 매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서울·경기(74,106매), 강원·충청(155,435매), 전라·경상(275,529매) 순으로 추진한다.
이 지적원도는 마을 별로 모든 토지의 지번, 지목(대지, 답, 전 등 구분), 소유자명을 기록하고 있어, 6.25전쟁 때 토지대장 분실로 그 동안 토지소유권을 증빙하기 어려웠던 지역에서는 6.25전쟁 이전 소유권을 증빙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그간 국가기록원은 1979년도에 촬영된 지적원도 마이크로필름을 디지털 파일로 전환하여 대국민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그러나 저해상도(82DPI) 흑백이미지로 선명도가 떨어져 도면 내 각 지번의 면적, 지목, 소유자명 등 1,400만 건의 정보를 확인하기 어렵다 보니 이용자는 지적원도 원본이 보존된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을 직접 방문해야 했다.
특히 지적원도 원본에는 조상 땅 찾기의 핵심 정보인 소유자명이 연필로 매우 흐릿하게 표기되어 있어 기존의 저해상도 흑백이미지로는 정확한 판독이 곤란하였다.
지적원도가 고화질 컬러이미지로 온라인 제공되면, 국민들은 100년 전 마을별 토지의 모습과 함께 자신의 조상들이 어떤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는지 신속하게 검색하고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이번에 공개되는 지적원도 디지털 이미지는 종이기록 원본과 동일한 크기의 초고해상도로 디지털 전환한 것으로, 옛날 조상들이 살았던 도로, 하천, 논과 밭, 철로, 지번경계 등 백여 년 전 고향땅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1:1 축적의 컬러이미지로 디지털화되므로 정확한 토지의 축척이 필요한 지방자치단체, 관련학계 등에서 더욱 유용하게 쓰일 전망이다.
이상진 국가기록원 원장은 “남한 전체 지적원도에 해당되는 약 50만여 매를 고화질 컬러이미지로 디지털화해 일반국민들이 쉽게 조상 땅을 찾을 수 있게 되고 지자체별 지적 민원업무, 학술자료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담당 :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강현민 (051-550-80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