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성장을 견인해 왔지만 침체기에 접어든 지역전통산업을 높은 부가가치와 일자리를 창출하는 혁신산업으로 재창조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손을 맞잡았다.
행정자치부(장관 홍윤식)는 6일 인천 송도국제자유도시 미추홀타워에서 산업부, 문화부 등 2개 부처, 17개 시도 관계자와 기업인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3회 지역경제정책협의회』를 가졌다.
인구절벽, 중국과 일본 사이에 낀 넛크래커 상황 등 대내외적인 위기를 맞아 우리 경제 곳곳에서 돌파구를 찾아야 하는 상황에서, ‘전통산업의 활성화’를 위기극복 대안으로 모색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된 것이다.
◆ 문화ㆍ예술ㆍ첨단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전통산업의 경쟁력 제고
홍윤식 행자부장관과 유정복 인천시장이 공동 주재한 회의에서는 ‘전통산업 활력제고를 통한 지역경제 발전’을 주제로 시도별 전통산업 활성화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현장이 체감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방향이 논의됐다.
발표세션에서는 인천ㆍ대구ㆍ부산ㆍ서울 지역의 전통산업 활성화우수사례, 전문가의 정책방향 제언, 산업부와 문화부의 정책과제 현황 및 방향에 관한 소개가 이루어졌다.
▲인천시의 ‘남동산단 고도화’ ▲대구시의 ‘출판인쇄산업 경쟁력 강화’ ▲부산시의 폐공장 재생 ‘F1963’ 프로젝트 ▲서울시의 ‘성수수제화산업특구 조성’ 등 우수사례 발표는 전통산업 활성화의 롤모델을 그려 본 시간으로 참석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특히, 고려제강 공장을 복합문화공간으로 리모델링하여 부산의 명소로 탈바꿈시킨 ‘F1963’ 프로젝트 발표를 맡은 강재영 자문위원은 예산조달, 부산시와의 협의과정 등에 대한 참석자들의 열띤 질문공세를 받기도 했다.
‘F1963’으로 새롭게 태어난 도심속 폐공장은 부산비엔날레(9.3~11.30) 개최 장소로 도서관ㆍ카페ㆍ공연장ㆍ전시장ㆍ식당 등 전 연령층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시설을 갖춰 부산 지역경제의 새로운 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원도연 원광대 교수와 백진 서울대 교수는 문화ㆍ예술과 전통산업의 융합전략을 제시하였다.
원도연 교수는 참여정부의 지역혁신체계 정책의 성과와 한계를 반추하면서 밀라노, 볼로냐를 예시로 문화산업과 전통제조업의 결합이 전통산업 활성화의 핵심열쇠가 될 수 있음을 역설하였다.
백진 교수는 일본의 에치고즈마리, 영국의 테이트모던 사례를 소개하면서 특정한 장소의 문화ㆍ예술ㆍ역사적 특징을 살려 산업과 결합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특히 자동차 매매ㆍ전시ㆍ개조ㆍ체험이 가능한 가상 ‘세종시 자동차 테마파크 건설’ 사례를 통해 산업과 문화의 융합으로 장소의 브랜드 가치가 형성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산업부와 문화부도 각각 지역산업과 지역문화산업의 진흥을 위한 정책방향에 대해 발표하였다.
산업부 천영길 지역경제총괄과장은 시·군·구와 지역행복생활권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연고산업육성사업(RIS) 및 풀뿌리기업육성사업을 중심으로 사업추진 현황과 성과 및 향후 계획에 대해 소개했다.
문체부 이형호 문화정책관은 지역의 문화융성, 관광 및 콘텐츠 산업 등 문화를 통한 지역발전과 문화적 가치를 더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에 관해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 전통산업의 활력 제고를 위해 정부ㆍ지자체ㆍ연구기관이 모두 나서야
합동토론에서는 관계부처 및 시도 공무원, 전문가, 지역산업인 대표들이 참여한 가운데 전통산업 활력 제고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현장의 지자체 담당자들은 지역 제조업의 쇠퇴와 공장 해외이전에 따른 ‘지역 제조업 공동화’ 현상에 대해 우려를 표하면서 정부의 R&D 지원 확대와 전문인력 양성, 소비자 유인책 마련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이에 심덕섭 행자부 지방행정실장은 “지자체의 애로 해소를 위한 작지만 구체적인 정부의 노력 하나하나가 모여, 전통산업의 부활을 가져온다고 본다.”라며 “행자부가 지자체의 의견을 관계 부처에 전달하고 함께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전통산업의 활력을 제고하기 위해선 ITㆍBT 등 첨단기술은 물론 문화ㆍ예술과 같은 컨텐츠와의 유연한 결합을 이끌어낼 수 있는 융합ㆍ통섭전략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홍윤식 행정자치부 장관은 “미국기업의 국내 U턴과 제조업의 부활 뒤에는 오바마 정부의 강력한 지원과 주정부들의 유치경쟁 및 활성화 노력이 있었음에 주목해야 한다.”라면서 “우리나라 역시 전통산업의 회복을 위해 정부부처와 인천시를 비롯한 지자체는 물론 학자, 산업관련 연구기관 등 모든 이해관계자의 동반 노력이 절실하다.”라고 말했다.
담당 : 지역경제과 김지은 (02-2100-4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