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주액은 대형사일수록 낙폭 심해
올해 들어 종합건설사 4곳 중 1곳이 단 1건의 공사도 따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수주액 감소율은 50위권 대형사가 -42.1%에 달하는 등 업체 규모가 클수록 두드러졌다.
‘건설시장 동향점검 실무대책반 회의’에서 보고된 기관별 자료를 보면 10월 현재 무실적업체 비율은 평균 26.1%였다. 올해 말까지 2개월을 앞둔 상태지만 2011년(22.9%), 작년(24.6%)에 비해 높았다.
무실적사 비중은 시공능력평가액 1001위 이하(28.1%)로 가장 높고 101~300위 6.6%, 51~100위 6.3%, 301~1000위 4.4%인 반면 50위권 내 건설사 중 무실적업체는 없었다.
그러나 올해 수주액 증감률만 보면 중대형사 타격이 훨씬 컸다. 10월 누적 수주액의 전년동기 대비 증감률이 1~50위(-42.1%), 51~100위(-37.6%), 101~300위(-15.4%), 301~1000위(-7.8%)였고 1000위 미만 건설사는 오히려 7.8% 늘었기 때문이다.
전년동기 대비 수주액 내 비중도 50위권사가 49.4%에서 37.2%로 감소했고 1000위 미만 업체는 27.0%에서 37.9%로 불어났다. 나머지 구간 건설사의 수주액 비중도 시평 순위가 높을수록 더 나빠지는 추세가 뚜렷했다.
10월말 기준의 부도업체는 종합 26곳, 전문 93곳을 합쳐 119곳으로 전년 말(종합 49곳, 전문 138곳 등 187곳)보다 급감했지만 부도위기 업체들이 워크아웃·법정관리를 신청하거나 아예 폐업하는 경우가 많아 무의미하다는 게 참석자들의 대체적 분석이었다.
오히려 폐업, 특히 설립 후 10년이 지난 견실한 중견사의 폐업률 증가세가 심상치 않은 점이 걱정거리란 지적이 이어졌다는 후문이다.
10년 이상된 종합·전문건설사 폐업률은 2009년만 해도 10.8%(종합 10.8%, 전문 19.3%)에 그쳤지만 2010년 16.7%, 2011년 24.4%에 이어 작년에는 38.1%까지 치솟았고 올해 10월 기준의 폐업률도 37.6%(종합 37.6%, 전문 29.4%)에 달했다.
물량부족난뿐 아니라 실적공사비, 표준품셈 등으로 인한 원가율 상승이 경영을 압박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건설공사 수익률을 좌우하는 공공공사 평균 낙찰률(올해 10월말 누적 기준)이 기술제안 93.11%, 대안 88.98%, 적격심사 87.31%, 최저가 74.38%, 턴키 92.38%로 작년 연간 평균치(95.26%, 84.56%, 87.21%, 74.39%, 90.83%)와 비교해 증감률 차이가 적기 때문이다.
다만 공기업 발주공사의 평균 낙찰률(기술제안 89.86%, 적격심사 86.37%, 최저가 73.77%, 턴키 85.84%)은 상대적으로 낮아 이들 기관의 공사를 주로 맡는 중대형사들의 경영부담이 가중된 것으로 추정됐다. 그러나 근본 원인은 정부와 발주기관의 공사비 삭감관행 탓이란 게 중론이었다.
한 참석자는 “낙찰률이 비슷한 수준인데도 건설기업별 원가율이 급등하는 원인은 결국 실적공사비, 표준품셈 등으로 인해 책정되는 예정가격 자체가 과거에 비해 급락했기 때문으로 풀이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있었고 이에 대해 국토부도 일정부분 공감했다”고 설명했다.
김국진기자 jinn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