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장탱크 건설, 주배관 이용 등 걸림돌
선도적 정보 입수 어려움 따른 불확실성도
발전 공기업들과 민간 발전사들이 LNG(액화천연가스) 직도입 여부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발전 연료의 비용 절감과 장기적인 공급 안정성 확보를 위해 직도입이 필요하다는 인식은 가지고 있지만, 해결해 나가야 할 난제들이 산재해 있기 때문이다.
1일 발전업계에 따르면 최근 몇년 사이 LNG 직도입 여부가 기업들 최대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LNG화력을 주사업군으로 하는 포스코에너지는 최근 경쟁력 강화를 위해 LNG를 직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3∼4곳의 미국 셰일가스 공급업체를 후보로 추린 상태. 연내 도입처를 확정하고 현지 업체의 지분을 확보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
국내 최대 집단에너지 사업자인 한국지역난방공사 역시 LNG 직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난은 지난해에만 150t의 LNG를 한국가스공사로부터 구매해 1조5000억원을 지출했다. 이를 직접 구매해 부담을 줄이고, 3조원 규모의 부채도 감축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직도입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수두룩하다. △저장탱크 건설 혹은 임차 문제 △가스공사의 주배관 사용 문제 △LNG 수송선 이용 문제 등이 난제로 떠오르고 있는 탓이다.
실제로 LNG를 직도입하면 이를 저장할 대규모 저장탱크가 필요하다. LNG터미널을 건설할 수도 있고, 경쟁 발전사들의 저장탱크를 임차하는 방법도 있다. 이미 LNG 직도입을 진행하고 있는 SK E&S의 경우 보령에 LNG터미널을 짓는 중이다. 내년 스위스 비톨로부터 연간 40만t의 LNG를 수입하는 중부발전의 경우 포스코의 것을 임대해서 사용할 계획이다.
또 LNG를 저장탱크로 운송하기 위해서는 가스공사의 주배관을 사용한다. 이때 사용료를 놓고 가스공사와 협의를 진행해야 한다. 이미 대다수 발전사들이 가스공사로부터 LNG를 공급받고 있기 때문에, 사용료 부문에서 가스공사의 ‘선처’를 바라고 있다. 그러나 부채 감축이 선결 과제인 가스공사 입장서는 쉽지 않은 문제다.
아울러 LNG 직도입 관련 노하우와 정보가 부족하다는 것도 걸림돌로 작용한다.
한 발전사 관계자는 “해외 LNG 시장 정보를 선도적으로 입수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서 LNG를 가스공사보더 더 저렴한 가격에 직도입할 수 있을지에 대한 확답이 나오지 않는다. LNG 직도입의 중요성과 장기적인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확실성이 없는 상황서 섣불리 진행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셰일가스, DME(디메틸에테르) 등 비전통 에너지의 개발이 가속화하는 상황서 직도입이 장기적으로는 반드시 이뤄져야 할 부문이라는 데는 입을 모은다. SK E&S 등 LNG 직도입을 기추진한 기업들이 그 비중을 확대해 확대하고 있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정석한기자 jobiz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