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0개 혁신도시가 공공기관 이전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해당 지역의 인구가 늘고 일자리가 새로 생겨났으며 지방재정에도 보탬이 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혁신도시 이전 대상 공공기관 115곳 가운데 100곳이 지난해말까지 이전을 마쳤다.
지난해말 기준으로 부산ㆍ대구ㆍ전남광주ㆍ울산ㆍ강원ㆍ충북ㆍ전북ㆍ경북ㆍ경남ㆍ제주 등 10개 혁신도시의 주민 수가 이전 전과 비교해 총 10만4046명이 늘었다. 이는 2030년 목표인구 27만명의 38% 수준이다.
지역별로는 전북혁신도시가 2만1056명으로 가장 큰 폭으로 늘었고, 이어 울산 1만7279명, 광주전남 1만2452명, 강원 1만337명 등을 기록했다. 특히 부산(7795명)은 10개 혁신도시 중 유일하게 계획인구(7000명)를 넘어섰다.
지방세 수입은 7442억원으로 전년대비 2.8배 증가했다. 부산혁신도시는 4059억원의 세수를 올리며 전체 세수 증가액의 절반 이상을 책임졌다. 부산에 터를 잡은 한국예탁결제원의 지방소득세가 대폭 늘었기 때문이다.
이전기관의 지역인재 채용비율도 꾸준히 늘고 있다. 2013년 5%에 그쳤던 지역인재 채용비율이 2014년 10.3%에서 지난해에는 13.3%까지 높아졌다. 지난해에는 이전기관이 뽑은 총 8073명 중 1069명을 지역 대학 출신을 뽑았다. 지역별로는 부산과 경남혁신도시의 채용비율이 각각 27%, 18%로 높았다.
국토부 관계자는 “앞으로 혁신도시 유입인구 증가에 맞춰 아파트, 학교, 주민센터 등 공공시설을 적기에 공급하고, 지역성장의 구심점 역할을 하기 위한 산학연 클러스터 활성화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체 지방이전 대상 공공기관은 혁신도시 외에도 세종시 및 개별 이전(39개)을 포함하면 총 154개다.
이들 공공기관이 떠나면서 수도권에 남겨둔 종전부동산 120개 중 95개가 민간이나 중앙정부ㆍ지자체, 매입기관(캠코ㆍLHㆍ농어촌공사) 등에 팔렸고 나머지 25개가 주인을 찾고 있다. 95개 종전부동산의 매각액만 총 17조2550억원에 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