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하수도 분야에 약 4조원이 투입된다.
환경부는 노후 상하수도 정비, 물산업 클러스터 조성, 오염토양 정화 등 상하수도 분야에 국고 2조6325억원과 지방비 1조4282억원 등 총 4조607억원을 투자한다고 16일 밝혔다.
상하수도 예산은 환경부 전체예산(5조7287억원)의 46%에 달한다.
환경부는 올해 시작되는 ‘지방상수도 현대화사업’의 22개 선도사업(745㎞)에 512억원을 들여 연내 착공할 계획이다. 한국환경공단은 지난해말 선도사업 지방자치단체와 위탁 계약을 체결하고 설계 착수 준비를 마쳤다. 지방상수도 현대화사업은 올해부터 2028년까지 12년간 총 3조962억원(국고 1조7880억원, 지방비 1조3082억원)을 투자하는 중장기 먹는물 인프라 개선 프로젝트다.
총 58곳의 한강·낙동강 수계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율은 지난해 56.9%에서 올해 60.3%로 높인다. 농어촌 지역 상수도 보급률은 80% 달성이 목표다.
노후 하수관로에 따른 지반침하를 예방하기 위해 환경부와 환경공단은 2015년부터 작년까지의 전국 노후 하수관로 정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중장기 노후 하수관로 정비 계획’을 3월 수립한다. 또 파손·결함이 심각한 하수관로(500㎞·2310억원)를 정비한다.
침수 우려지역 10곳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추가 지정하고 침수예방 하수도 정비사업을 추진한다.
환경부와 한국상하수도협회는 지진에 대비해 9월 중 전국 상하수도 시설을 대상으로 내진성능을 조사·평가한다. 이를 토대로 중요도·시급성 등을 고려해 보강계획을 세운다.
국내 물산업 육성의 전초 기지인 ‘대구 물산업클러스터’(총사업비 2335억원) 역시 차질없이 조성한다.
지난해 11월 착공한 대구 물산업클러스터 조성공사를 차질없이 진행해 2018년 완공 예정이다.
지난해 11월 수립된 ‘스마트 물산업 육성전략’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상반기 ‘물산업진흥법’을 제정하고, 세부이행 계획을 수립한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협조해 ‘물시장 맞춤형 상하수도 혁신 연구개발’ 예비타당성 조사에 적극 대응한다.
대규모 오염 토양 정화와 토양오염 우려지역 관리를 계속 추진하는 한편 토양·지하수환경 관리제도를 정비한다.
충남 서천군 옛 장항제련소 주변지역 가운데 매입구역(반경 1.5㎞ 이내)에서 정화활동을 계속하고, 경북 봉화군 석포제련소 주변 오염지역도 관리한다.
김태형기자 kth@
〈건설을 보는 눈 경제를 읽는 힘 건설경제-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