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기반의 해외 인프라 수주가 풀죽은 해외건설시장의 ‘구원투수’로 급부상했다.
단순도급방식에서 투자개발형(PPP)으로 급변하는 해외시장 트렌드에 맞춰 공공부문과 협력해 시장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해외건설 신성장동력으로 기대를 모은다.
3일 관계기관과 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토교통부와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가 방글라데시에서 인프라 우선사업권을 획득한 사례는 플랫폼 기반 해외수주의 가능성을 입증한 첫 성과로 평가된다.
국토부와 KIND는 지난달 현지에서 플랫폼 회의를 열어, 85억달러 규모의 철도사업 등 총 92억달러 규모의 인프라사업 3건을 수의계약 방식으로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최종 계약이 확정되면 220억달러 남짓으로 추산되는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해외수주액의 약 40%를 단숨에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박재순 국토부 해외건설정책과장은 “방글라데시 우선사업권 획득은 정부 간 협력협약(MOU)에 이은 사실상 첫 해외수주 플랫폼 구축 사례이자 성과”라면서 “방글라데시뿐 아니라 조만간 남미나 동남아 지역에서 추가적인 플랫폼 수주 낭보가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국토부와 KIND는 이미 방글라데시 정부와 추가로 8건의 인프라사업 추진을 위해 협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성이나 추진일정 등을 고려해 국내 기업의 참여나 계약은 선택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여기에 파라과이와 스리랑카 등에서도 유사한 방식의 우선사업권 확보가 기대된다.
특히 파라과이는 방글라데시와 마찬가지로 협력방식을 통한 수의계약 체결을 허용하고 있어 이르면 상반기 중 가시적인 성과 도출이 기대된다.
국토부는 이 같은 플랫폼 기반의 수주영역을 기존 토목, 플랜트 등 인프라에 이어 스마트시티 등 해외 도시개발 영역으로 넓힌다는 계획이다.
우리나라가 강점을 지닌 스마트시티의 경우, 한국형 스마트시티 수출을 위해 지난달 말 새로 출범한 ‘K-City 네트워크’의 글로벌 협력프로그램 국제공모에 착수했다.
우리 정부가 해외 정부 및 지자체의 스마트시티 개발사업을 직접 발굴하고, 초기 사업비를 지원해 타당성조사부터 지원하고 관리하면서 국내 기업의 참여기회를 보장하는 방식이다.
또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해 양국 정상 간 논의로 급물살을 탄 인도네시아 수도이전 사업 지원을 위해 현지 정부에 직접 협력관을 파견했다.
도시정책 수립부터 조사, 설계, 공사발주, 스마트 도시 개발 및 관리 등 사업추진 전 과정을 밀착 지원하면서 국내 기업이 참여하고 투자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봉승권기자 skbong@
〈건설을 보는 눈 경제를 읽는 힘 건설경제-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