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공공조달 규모 225.1조원… 전년대비 7.9% 증가 - 조달청, `24년도 공공조달 통계 발표, 상세자료 조달데이터허브시스템에 공개 -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나라장터) 거래규모 145.1조원, 전년대비 11.1% 증가
조달청은 27일, 2024년도 공공조달 실적을 집계·분석하여 발표하고, 상세내용을 조달데이터허브시스템을 통해 공개하였다.
2024년 우리나라 공공조달 규모(계약기준)는 총 225.1조원으로, 전년대비 7.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조달 규모는 `15년 통계작성 이후 매년 꾸준히 증가(15년110조원 → `18년141조원 → `21년184조원)하여 `24년도에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또한, `24년도 공공조달실적 225.1조원은 우리나라 GDP의 9% 수준으로, 공공조달이 내수 및 민생경제를 뒷받침하는 중요한 축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2024년 공공조달 시장은 ?기관별로 보면 지방자치단체가 94.1조원(41.8%)으로 가장 많고, 공공기관이 80.5조원(35.8%), 국가기관 50.5조원(22.4%) 순이다.
▲ 사업별로는 공사 85.7조원(38.1%), 물품 84.3조원(37.4%), 용역(서비스) 55.1조원(24.5%) 순으로 조사됐다.
▲ 기업규모별로는 중소기업 142.1조원(63.1%), 중견기업 34.8조원(15.5%), 대기업 31.5▲ 기업규모별로는 중소기업 142.1조원(63.1%), 중견기업 34.8조원(15.5%), 대기업 31.5조원(14.0%), 비영리법인 등 기타 16.7조원(7.4%)이다.
조달시스템별로 보면,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 나라장터 거래실적은 145.1조원으로 64.5%를 차지하며, 자체조달시스템 및 비전자계약 80조원(35.5%)의 실적을 보였다.
공공조달 시장에서 나라장터 거래비중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차세대 나라장터 개통에 따라 `25년부터 순차적으로 공공기관 자체조달시스템이 나라장터로 통합되면 자체조달시스템 등 거래비중은 대폭 감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 나라장터 비중: (‘21) 60.8% → (’22) 62.0% → (’23) 62.6% → (’24) 64.5%
2024년 공공조달통계 상세자료는 조달데이터허브시스템(http://data.g2b.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국가통계포털(KOSIS)에도 등재하고, 「공공조달통계연보」도 발간하여 국민들에게 상세하게 안내할 계획이다.
백승보 조달청 차장은 “공공조달통계는 데이터기반 조달행정의 핵심인프라이며, 조달정책을 국민 삶 속으로 전달하는 핵심 통로”라면서 “7.1일 조달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전담관리하는 조달데이터팀을 신설하고, 조달데이터의 수집·결합·가공·분석·공개를 확대하여, 정책적·산업적 활용을 극대화하겠다.” 고 밝혔다.
*문의: 전자조달기획과 류수영 사무관(042-724-7188)
조달청 이(가) 창작한 `24년 공공조달 규모 225.1조원… 전년대비 7.9% 증가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