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정보 > 입찰공고 현황 > 용역
1. 공고일반 ※ 회원가입 후 시그니처 입찰시스템을 활용해보세요!
공고번호 E012504788 공고일시  2025/07/01 14:00
공고명 2025년 인천본부 안전장구시험 위탁용역
공고기관 한국전력공사 인천본부 기획관리실 재무계약부 수요기관 한국전력공사 인천본부
공고담당자 현지영(☎: (032)520-7373) 과업설명 제한여부
입찰방식 전자입찰 계약방법 제한경쟁
용역구분 국제입찰구분  
 
2. 입찰일시
입찰개시일시 2025/07/01 14:00 과업설명일시
공동협정서마감일시 2025/07/04 18:00  PQ신청서 신청기한
참가신청 신청기한 2025/07/01 14:00 ~ 2025/07/04 18:00    
입찰(투찰)마감일시 2025/07/07 14:00 개찰(입찰)일시 2025/07/07 15:00
 
3. 입찰금액
기초금액
24,501,400 원
   
배정예산
24,501,400 원
   
추정가격
22,274,000 원
낙찰하한율
88.000 %
 
4. 입찰공고서 원문
 

 

용역 전자공개수의 입찰공고문 

 

1. 용 역 명 : 2025년 인천본부 안전장구시험 위탁용역 

            

2. 용역개요 

 가. 추정금액 : ₩ 24,501,400- (추정가격 + 부가가치세) 

 나. 추정가격 : ₩ 22,274,000- (부가가치세 제외) 

 다. 예비가격기초금액 : 한전전자조달시스템(http://srm.kepco.net, 이하 같습니다)의  

                      입찰공고란 해당 공고의 “예비가격기초금액” 

 라. 용역기간 : 착수 후 54일  

 마. 용역현장 : 인천본부 직할 및 14개 사업소 

   ○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 김포시․부천시․시흥시 일원 (인천본부 관내) 

 바. 용역내용 : 안전장구 정기시험(1회/년)으로 절연내력 및 성능 이상 유무 확인 

   ○ 시험품목 : 보호구․방호구, 검출장치(검전기), 접지장치, 작업장치(조작봉) 등 

   ○ 시험종류 : 안전장구 내전압시험, 절연저항 측정, 안전장구 동작시험 등 

   ○ 시험방법 : 사업소별 지정된 장소에 위탁업체 방문하여 시험 용역 시행 

 

3. 입찰참가자격 : 다음의 조건을 모두 갖춘 업체 

 가. 안전장구 시험검사 대행회사 인증회사로서, 한국전력공사 전력기자재센터에서 승인받고 그 인증기간이 용역 종료일까지 유효한 회사 (공고문 첨부파일 「배전공사 시공업체 무정전장비 및 안전장구 시험업무 절차서」4. 대행회사 인증기준 참고) 

  ※ 입찰에 참가하고자 하는 업체는 입찰참가신청 시 「배전공사 시공업체 무정전장비 및 안전장구 시험업무 절차서」에 따른 ‘무정전장비 및 안전장구 시험검사 대행회사 인증서’를 스캔하여 한전전자조달시스템(http://srm.kepco.net)에 파일 첨부하여야 입찰참가자격을 부여합니다. 

나.「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소기업자 또는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른 소상공인으로서, 「중소기업 범위 및 확인에 관한 규정」에 따라 발급된 소기업ㆍ소상공인 확인서를 소지한 자 

   ○ 소기업ㆍ소상공인 확인서가 중소기업제품공공구매종합정보망(http://www.smpp.go.kr)에서 확인(전자입찰서 제출 마감일 전일까지 발급된 것으로서 전자입찰서 제출 마감일까지 계속 유지되어야 함)되지 않을 경우 입찰참가자격이 없습니다. 나라장터 및 중소기업제품공공구매종합정보망에서 확인이 가능한 입찰참가자격은 별도의 서류를 제출할 필요가 없습니다. (다만, 동 시스템에서 자료가 확인되지 않을 경우 입찰참가자격이 없습니다.) 

   ○ 소기업ㆍ소상공인 확인서를 입찰서 제출 마감일 전일까지 신청한 사항이 확인된 업체는 입찰참가가 가능하나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입찰참가자격이 없습니다. 

      - 제출 마감일로부터 5일 이내에 중소기업제품공공구매종합정보망에서 확인이 되지 않는 경우 

      - 발급된 소기업ㆍ소상공인 확인서가 입찰참가자격의 기업 구분과 다른 경우 

      - 발급된 소기업ㆍ소상공인 확인서의 유효기간 시작일이 전자입찰서 제출 마감일 이후(마감일 포함)인 경우 

      - 전자입찰서 제출 마감일 전일까지 소기업ㆍ소상공인 확인서를 신청하지 않은 경우 

   ○ 소기업‧소상공인 확인서 발급에 관한 문의는 해당지방중소기업청(☎ 콜센터 : 국번 없이 1357)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다. 공고일 기준 최근 6개월 이내에 아래의 사유로 부정당업자 제재처분을 받은 사실이 없는 자 

 ✔ 부실시공 

✔ 입찰ㆍ계약 서류 위조 또는 허위 제출 

 ✔ 담합행위 

✔ 입ㆍ낙찰 또는 계약이행 관련 뇌물제공자 

 

  ☞ 관련법규 :『계약예규』「정부입찰ㆍ계약 집행기준」제10조의2 ②항 4호 

 라. 견적서 제출(투찰) 마감일 기준 최근 3개월 이내에 정당한 이유 없이 계약에 응하지 아니하거나 포기서를 제출한 사실이 없는 자 

  ☞ 관련법규 :『계약예규』「정부입찰ㆍ계약 집행기준」제10조의2 ②항 7호 

 마. 공동도급계약에 관한 사항 : 해당 없음 

 바.「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제27조의5 및 동법 시행령 제12조 제3항에 따라 ‘조세포탈 등을 한 자’로서 유죄판결이 확정된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는 입찰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입찰자는 동법 시행령 제12조 제3항 각 호에 해당하지 아니한다는 서약서를 입찰 시 제출하여야 합니다. 만일 서약내용이 허위로 판명될 경우 계약의 해제‧해지를 당할 수 있고, 부정당업자 입찰참가자격 제한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원전비리 방지를 위한 원자력발전사업자등의 관리·감독에 관한 법률」, 청렴계약 이행각서(특수조건)의 규정에 의한 입찰참가자격 제한기간 중인 자는 본 입찰에 참가할 수 없으며, 계약체결 전에 입찰참가자격 제한을 받은 경우에는 그 낙찰자와 계약을 체결할 수 없습니다. 

 

4. 현장설명 : 없 음 

 

5. 입찰참가신청 

 가. 신청방법 : 한전전자조달시스템에 접속하여 입찰참가신청을 합니다. 

 나. 신청 시작일시 : 2025. 07. 01.(화) 14:00 

 다. 신청 마감일시 : 2025. 07. 04.(금) 18:00 

 라. 전자입찰참가신청을 하기 위해서는 입찰참가신청 마감일 전일까지 조달청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 입찰참가자격 등록규정에 의하여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http://www.g2b.go.kr)에 경쟁입찰참가자격 등록을 필한 후 한국전력공사 전자조달시스템 이용약관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지정 공인인증기관의 인증서를 교부받아 입찰참가신청 마감일 전일까지 한전전자조달시스템에 회원등록을 하여야 하며, 회원등록을 마친 다음 입찰참가신청 마감 전까지 입찰참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마. 전자입찰참가자는 입찰참가신청 후 입찰서 투찰(견적서 제출)이 가능하며 입찰참가자격은 입찰참가신청 마감 후 담당자가 재확인 심사하여 재확인 심사에서 부적격 판정을 받은 경우 투찰한 입찰서는 무효 처리됩니다. 

 바. 입찰참가신청서류 

   ○ 입찰참가신청자가 인터넷으로 작성 제출할 서류는 입찰참가신청서 및 공동수급 협정서(공동도급 시)입니다. 

   ○ 입찰참가신청자가 상기의 서류와 별도로 입찰참가신청 마감일시까지 제출해야 할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출서류는 입찰참가신청 시 스캔하여 한전전자조달시스템에 파일 첨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부득이한 경우 입찰담당부서에 직접, 우편 또는 팩스로 제출할 수 있습니다. 

      ☞ 제출서류 : 무정전장비 및 안전장구 시험검사 대행회사 인증서 

   ○ 서류 제출의 경우 입찰참가신청 마감일시까지 도착분에 한하여 유효합니다. 

 

6. 투찰(견적서 제출) 및 개찰 

 가. 본 입찰은 전자입찰로만 집행하며, 전자입찰서는 반드시 한전전자조달시스템에 접속하여 인터넷으로 제출하여야 합니다. 

 나. 전자입찰서는 제5항의 입찰참가신청을 한 자에 대하여 입찰집행관이 입찰참가신청을 승인한 경우에 한하여 제출할 수 있습니다. 다만, 상시투찰대상용역(입찰참가 신청 시작일시와 입찰 시작일시가 동일한 경우)인 경우에는 입찰참가신청과 동시에 제출할 수 있으며, 입찰참가자격 유무에 따른 입찰무효 여부는 개찰 후 입찰담당자가 재확인 심사합니다. 

 다.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인 경우에도 입찰금액은 반드시 부가가치세를 포함하여 제출하여야 하며, 제출된 금액은 부가가치세를 포함한 금액으로 간주됩니다.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가 낙찰자로 결정될 경우 계약금액에서 부가가치세는 제외됩니다. 

라. 전자입찰서 제출 확인은 한전전자조달시스템의 “나의 메시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마. 입찰 시작일시 : 2025. 07. 01.(화) 14:00 

 바. 입찰 마감일시 : 2025. 07. 07.(월) 14:00 

   ※ 예정가격은 예비가격기초금액의 100%±2%(예비가격기초금액의 102% ∼ 98%) 금액 범위 내에서 산출한 15개의 복수예비가격에서 입찰참가업체가 입찰 시 선택한 4개의 복수예비가격 번호 중 선택빈도가 가장 많은 4개 번호에 해당하는 복수예비가격을 산술평균한 금액으로 결정됩니다. 

 사. 개찰은 한전전자조달시스템에서 입찰마감시간 1시간 경과 후 수동으로 개찰합니다. 

아. 본 용역은 국민건강보험료, 노인장기요양보험료, 국민연금보험료 반영 대상 용역(용역기간 1개월 이상)입니다. 

    (1) 입찰참가자는 입찰금액 산정 시(내역입찰의 경우 산출내역서 포함) 아래 국민건강보험료, 노인장기요양보험료 및 국민연금보험료의 금액을 조정 없이 반영하여야 합니다. 

     ○ 국민건강보험료 : ₩ 382,124- (부가가치세 별도) 

     ○ 노인장기요양보험료 : ₩ 49,485- (부가가치세 별도) 

     ○ 국민연금보험료 : ₩ 485,066- (부가가치세 별도) 

    (2) 국민건강보험료, 노인장기요양보험료 및 국민연금보험료는「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73조 및 계약예규「정부 입찰․계약 집행기준」제19장에 정한 바에 따라 사후 정산하여야 합니다. 

자. 본 용역은「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에 따라 예정가격 산출 시 산업안전보건관리비를 미적용(적용 : 총 공사금액 2천만원 이상 건설공사)하며, 입찰참가자는 입찰금액 산정 시(내역입찰의 경우 산출내역서 포함) 아래 금액을 조정 없이 반영하여야 합니다. 

     ○ 산업안전보건관리비 : ₩ 0- (부가가치세 별도) 

 차. 본 용역은「건설근로자의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는 퇴직공제부금비 미반영 대상 용역(반영 : 추정금액 1억원 이상 건설공사)이며, 입찰참가자는 입찰금액 산정 시(내역입찰의 경우 산출내역서 포함) 아래 금액을 조정 없이 반영하고 입찰공고 등에 고지된 금액 범위 내에서 사후 정산하여야 합니다. 

     ○ 퇴직공제부금비 : ₩ 0- (부가가치세 별도)  

카. 본 용역은 건설기술진흥법 시행규칙「품질관리비의 산출 및 사용기준」에서 정하는 품질관리비 미반영 용역(반영 :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89조에 따른 품질관리계획 수립대상 용역)이며, 입찰참가자는 입찰금액 산정 시(내역입찰의 경우 산출내역서 포함) 아래 금액을 조정 없이 반영하고 입찰공고 등에 고지된 금액 범위 내에서 사후 정산하여야 합니다. 

     ○ 품질관리비 : 0- (부가가치세 별도)   

 타. 본 용역은「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제8조에 따라 예정가격 산출 시 아래와 같이 일반관리비율과 이윤율을 적용하였으며, 기획재정부 계약예규「정부 입찰‧계약 집행기준」제2조의4 제1항 제3호에 따라 아래와 같이 공개합니다. 

     ○ 일반관리비율 : 8.0%  

     ○ 이윤율 : 10.0% 

 파. 본 용역의 도급재료비, 노무비, 경비는 아래와 같습니다. 

구 분 

도급재료비 

노무비 

경 비 

합 계 

비 고 

금 액 

0원 

13,635,760원 

6,988,318원 

20,624,078 

VAT 제외 

 

 

7. 낙찰자 결정방법 

 가. 예정가격(복수예비가격 15개 중 전자입찰유의서 제14조에 의거 선정된 4개의 산술평균가격) 대비 88% 이상 입찰자 중 최저가격으로 입찰한 자부터 심사하여 입찰무효, 입찰참가자격 등 하자가 없고, 계약담당자가 『안전 계약이행 체크리스트』에 모두 “A(해당없음)”로 확인한 경우 낙찰자로 선정하며 “B(제재 사실 또는 행정형벌 사실 있음)”로 확인한 항목이 있는 경우 그 다음 최저가격으로 입찰한 자부터 동일하게 심사하여 낙찰자를 선정합니다. 

<안전 계약이행 체크리스트> 

체크리스트 항목 

해당사항 

입찰공고일 기준 최근 1년 이내에 국가계약법 시행령 제76조 제1항 및 제2항 제3호 가목에 따라 부정당업자로 입찰참가자격 제한을 받았는가? 

□ A(해당 없음) 

□ B(제재 사실 있음) 

입찰공고일 기준 최근 1년 이내에 산업안전보건법령 위반으로 동일현장*에서 벌금 이상의 행정형벌을 2회 이상 받았는가? 

* 한전 발주 공사·용역 현장에 한정함 

□ A(해당 없음) 

□ B(행정형벌 사실 있음) 

 

 나.「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제12조 및 동법 시행령 제14조, 「공직자의 이해충돌방지제도 운영지침」에 의거하여 계약예정자(낙찰하한율 이상 입찰자 중 최저가격으로 입찰한 자)는 계약체결 전 '수의계약 체결 제한 여부 확인서'를 기한 내(개찰 후 4일 이내)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확인서를 제출하지 않거나 수의계약 체결 제한 사항에 해당될 경우 계약을 체결할 수 없으며 그 경우 그 다음 최저가격으로 입찰한 자로부터 동일하게 확인하여 낙찰자를 선정합니다. 확인서 양식은 공고 내 첨부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확인서 제출경로 : SRM → 입찰/계약 → 입찰진행 → 전자공개수의 서류 제출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제12조 제1항 제2호 관련 입찰공고의 담당자 

구 분 

소 속 

직 위 

성 명 

계약부서 

인천본부 기획관리실 재무계약부 

과 장 

현지영 

인천본부 기획관리실 재무계약부 

차 장 

오승은 

인천본부 기획관리실 재무계약부 

부 장 

김현주 

발주부서 

인천본부 안전재난부 

대 리 

박승일 

인천본부 안전재난부 

차 장 

홍덕의 

인천본부 안전재난부 

부 장 

조창규 

 

 

8. 계약조항을 공시하는 장소 : 한국전력 인천본부 재무계약부 

                              (인천광역시 부평구 주부토로 246 / ☏ 032-520-7373) 

 

9. 입찰의 무효 : 당사 입찰유의서 및 전자입찰유의서 등에 규정된 바에 의합니다. 

 

10. 청렴계약 이행각서 제출 

 가. 본 용역은 청렴계약 이행 대상 용역입니다. 

 나. 입찰에 참여하는 모든 업체는 발주자와 입찰참여업체의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입찰, 계약, 계약이행과정(준공, 납품 이후를 포함)에서 관계 직원에게 금품․향응 등 부당한 이익 제공 및 입찰과 관련하여 입찰가격 또는 특정인의 낙찰을 위한 담합행위 등을 하지 않고, 이를 위반 시 당사가 입은 손해에 대한 배상, 계약 해제·해지, 입찰참가자격 제한 등을 감수하겠다는 ‘청렴계약 이행각서’를 제출한 것으로 간주하며, 낙찰대상자로 선정된 업체는 별도로 업체대표자가 서명하여 제출하고 계약체결 시 계약상대자는 청렴계약이행 서약내용을 그대로 ‘청렴계약 특수조건’으로 약정하는데 동의하고 준수하여야 합니다. 

 다. 입찰에서 낙찰자로 선정된 자가 계약체결 시 청렴계약 이행각서 내용을 청렴계약이행 특수조건에 명기하여 계약하는 것을 거부하여 낙찰통지를 받은 후 10일 이내에 계약이 체결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낙찰취소 조치를 받게 됩니다. 

 라. 청렴계약 이행각서 및 특수조건은 한전전자조달시스템에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11. 하도급에 관한 사항 

가. 하도급 허용 여부 : 불 허 

나. 본 용역에 대한 하도급의 가능 여부, 하도급 업체 요건, 하도급 승인 절차 등은 관련 법령을 따르며, 기타 세부 사항은 별도의 업무처리기준을 따릅니다. 

다. 본 용역을 하도급할 경우에는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정한 하도급 거래 질서를 확립하기 위하여 표준 하도급계약서 작성 및 사용을 권장합니다. 

라. 본 용역에 대한 하도급에 관한 사항은 「건설산업기본법」, 「전기공사업법」, 「정보통신공사업법」, 「소프트웨어 진흥법」 등 개별 법령의 하도급 관련 규정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소프트웨어 진흥법」 제51조, 동법 시행령 제48조, 동법 시행규칙 제14조 및「소프트웨어사업 계약 및 관리감독에 관한 지침(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시 제2023-15호, 2023.5.15)」 등에 따라 하도급 계약 시 한전 발주부서로부터 하도급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마. 본 용역계약의 하도급에 관한 사항(하도급 승인 절차 등)은 이 용역이 적용되는 과업내용서 또는 제안요청서, 다른 법령에서 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관련 법령(「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소프트웨어 진흥법」,「정보통신공사업법」 등)에 따르며, 하도급에 관한 사항을 정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계약체결 후 계약자와 발주자간 협의에 의해 정해진 바에 따릅니다. 

바.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이하 ‘국가계약법’)」 제27조 제1항 제3호 따라 「건설산업기본법」, 「전기공사업법」, 「정보통신공사업법」,「소프트웨어 진흥법」 그 밖의 다른 법률에 따른 하도급에 관한 제한 규정을 위반하여 하도급한 자 또는 발주처의 승인 없이 하도급을 하거나 발주자의 승인을 얻은 하도급 조건을 변경한 자는 국가계약법 및 관련 규정에 따라 계약 해지 또는 해제 및 부정당업자로 입찰참가자격을 제한받을 수 있습니다. 

사. 「국가계약법」 제27조 제1항 제5호에 따라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위반하여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입찰참가자격 제한의 요청이 있는 자는 부정당업자로 입찰참가자격을 제한받을 수 있습니다. 

 

12. 기타사항 

가. 입찰자는 용역입찰유의서, 전자입찰유의서, 용역계약일반조건, 계약특수조건, 용역시방서, 배전공사 시공업체 무정전장비 및 안전장구 시험업무 절차서 등 본 용역의 입찰을 구성하는 모든 서류를 반드시 열람하고 숙지하여야 하며, 숙지하지 못함에 따라 발생하는 모든 책임은 입찰자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나. 부도 또는 파산 상태에 있는 업체는 본 용역의 입찰에 참가할 수 없습니다. 낙찰 후 계약체결 전에 부도 또는 파산 상태에 있는 업체는 계약체결 대상에서 제외합니다. 

 다. 낙찰자가 없는 경우 한전전자조달시스템에서 입찰시간을 다시 정하여 입찰을 집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0조에 의한 재입찰로 봅니다. 

 라. ‘다’호에 의한 재입찰은 최초 입찰참가신청을 하여 입찰참가자격 승인을 받은 자에 한하여 참여할 수 있으며, 재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자는 새로 정한 입찰마감시간 내에 입찰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 

 마. 전자입찰참가 희망업체의 전산장비 장애 등의 사유로 인하여 전자입찰이 곤란한 경우에는 한전『Help Desk(☏ 061-345-1247,9)』로 문의한 후 자체적으로 장애복구 노력을 해야 하며, 장애복구 지연으로 인한 모든 책임은 입찰참가자에게 있습니다. 

 바. 한전 직원이 계약과 관련하여 금품․향응 요구(수수) 시 부조리제보신고센터로 신고 바랍니다. 

   ○ 부조리제보신고센터 : www.kepco.co.kr → ESG 경영 → 윤리경영 → 부패․공익․청탁금지법 신고 및 홍보〔본 시스템은 신고자의 익명이 보증됩니다.〕 

 사. 한전 임직원은 계약의 투명성 및 공정성을 위하여 한전을 퇴직한 자와 본 입찰 또는 계약 업무와 관련한 모든 접촉(당사 방문, 제안서 발표, 설명회 참석 등 대면·비대면 접촉)을 할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가피한 사정 없이 접촉을 시도하거나 요청할 경우에는 한전은 접촉 상대자의 변경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아. 전자공개수의계약 낙찰 후 정당한 이유 없이 계약에 응하지 아니하거나 포기서를 제출한 경우 3개월간 한전과의 전자공개수의 계약상대자에서 제외되며, 한전전자조달시스템(SRM)에 계약제한업체로 등록됩니다 

 자.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담당자에게 문의 바랍니다. 

    (1) 입찰절차 및 계약일반사항 

        : 한전 인천본부 재무계약부 현지영(☏ 032-520-7373)  

    (2) 설계 및 시공사항, 용역내용 등 

        : 한전 인천본부 안전재난부 박승일(☏ 032-520-7184) 

 

이상과 같이 공고합니다. 

 

2025.   07.   01. 

 

한 국 전 력 공 사  인 천 본 부 장